[미디어펜=이미미 기자] 정부가 올 추석 연휴 전에 외식·프랜차이즈 업계를 만나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1차 원재료 격인 밀가루를 공급하는 제분업계를 시작으로, 라면 등 2차 가공식품에 이어 3차 서비스업까지 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모양새다. 

   
정부의 잦은 ‘호출’로 관련 업계뿐만 아니라 소비자 사이에서도 말이 많은데, 결과론적으로 가격 인하에 대한 소비자들의 체감 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이 문제다. 

지난 6월 라면 업체가 가장 먼저 ‘가격 인하’를 결정하면서 소비자들은 환호했다. 하루가 멀다 하고 들리는 ‘가격 인상’ 뉴스 속에 그야 말로 단비 같은 소식이었기 때문이다. 

기쁨은 그리 오래 가지 못했다. 소매점 기준 1000원에 판매되는 신라면 한 봉지의 가격은 50원, 1500원인 새우깡은 100원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뒤이은 제과업계 가격인하 폭도 100원 수준으로 대동소이했다. 

그렇다고 제조사들이 생색내기 식으로 가격 인하 결정을 한 것은 아니다. 제분업계가 소맥분 가격을 내리면서 농심이 얻게 되는 비용 절감액이 연간 80억 원 수준이라면,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 인하로 농심이 볼 손해는 200억 원 가량으로 추산됐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수입산 등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면서 원가 부담이 크게 증가했다는 제조사들의 우는 소리가 거짓은 아닌 셈이다. 실제로 제품 가격을 인상해도 원가 부담을 온전히 상쇄하지는 못한다고 여러 식품기업들은 하소연했다. 

13년 전에도 똑같은 과정이 반복됐다. 밀가루 원가가 하락했으니 관련 제품들은 가격 인하를 자제하거나, 값을 내려야 한다는 식의 정부 압박이 있었다. 당시에도 라면과 제과 업체들은 가격을 내리고도 ‘올릴 땐 400원, 내릴 땐 100원’이라며 뭇매를 맞아야 했다. 

개인 가맹점주들로 이뤄진 외식·프랜차이즈 업계도 구조적으로 파격적인 가격 인하가 불가능한 것은 마찬가지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4일 구로디지털산업단지 G밸리산업박물관에서 주재한 제4차 규제혁신전략회의에서 “정부의 역할은 공정하고 효율적인 시장을 조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자제하라’는 분위기 조성보다 소비자가 가장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는 시장을 만들어 주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 아닐까 싶다. 

일례로 교촌치킨의 경우 올 2분기 매출이 10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했다. 지난 4월 간장 오리지날과 허니콤보 등 대표 메뉴 가격을 3000원씩 인상했지만, 매출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교촌치킨이 2018년 업계 최초 배달비 도입, 선제적 가격 인상 등으로 소비자에게 미운 털이 박히면서 업계 선두를 빼앗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싸면 다른 집 간다’는 말처럼, 정부에서 나서지 않아도 현재 소비자들은 너무나 역동적이다. 치열하게 경쟁하는 업체들과 똑똑한 소비자가 함께 굴러가는 순환구조를 정부가 고민하기 바래본다. 

[미디어펜=이미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