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차 발사 실패 땐 3주 뒤 당 전원회의 보도 통해 내부 공개
내각총리 질타·6년만 트랙터공장 방문 등 민생파탄 눈치볼 수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북한이 24일 군사정찰위성 2차 발사에 실패했다고 대외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신속하게 밝히면서도 북한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 등엔 25일까지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다. 
 
북한은 11년 전 인공위성 ‘광명성 3호’ 발사 땐 실패 사실을 주민들에게 바로 공개한 적도 있어서 이번에 특히 대내 공개를 꺼리는 이유가 주목된다. 북한이 지난 5월 위성 1차 발사 실패 당시에도 약 3주 뒤인 6월 19일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 보도를 통해 주민들에게 공개했다.

따라서 북한이 이번 위성 2차 발사 실패 사실도 언젠가 대내에 공개할 수 있어서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최근 김 위원장의 이례적인 내각총리 맹비난 사실이 있어 북한의 경제 악화로 인한 주민불만을 염두에 둔 것인지 주목된다.
 
북한이 대외 매체에서 위성발사 실패 사실을 신속하게 알린 배경엔 국제기구에 사전 통보해야 하는 의무 사항과 관련이 있어보인다. 북한은 이번에 국제해사기구(IMO)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조정국인 일본에 사전 통보했으므로 이후 실패 사실도 숨길 수 없었을 것이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1일 평안남도 간석지건설종합기업소 안석간석지 피해복구 현장을 현지지도 했다고 노동신문이 22일 보도했다. 2023.8.22./사진=뉴스1

반면,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 등에 관련 내용을 싣지 않고 함구하고 있는 것은 대내적으로 ‘모르쇠’로 일관할 수 있는 북한사회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또 11년 전만큼 위성발사 실패에 당당할 수 없는 북한정권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란 분석도 가능하다.

이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1일 침수된 평안남도 안석간석지를 찾아 김덕훈 내각총리를 콕 집어서 “건달뱅이들이 무책임한 일본새로 국가경제사업을 다 말아먹고 있다”고 질타한 사실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김 위원장이 최근 들어 경제 실정과 민생파탄의 책임을 아랫사람에게 돌리고 있는 것은 결국 주민들의 눈치보기란 해석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해 통일부 당국자도 “핵개발로 인한 대북제재와 국경봉쇄 조치 등 (김 위원장의) 잘못된 정책으로 초래된 경제 어려움을 내각에 전가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고 말한 바 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3차 위성발사 전날 금성 트랙터공장을 현지지도하고 “농기계 공업을 획기적으로 도약시켜 근본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부국강병 대업을 이루는데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공장은 김 위원장이 지난 2017년 11월에 방문해 개건 현대화 지침을 제시했던 곳이어서 경제정책이 전반적으로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북한은 이번 정찰위성 발사 실패 사실을 밝히면서 10월 중 3차 위성발사를 예고했으므로 구체적인 시기는 10월 1일부터 노동당 창건일인 10월 10일 사이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을 받고 “북한이 날짜에 의미를 부여하므로 그(10월 10일 당 창건일)쪽 중심으로 일정을 맞출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