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성동규 기자] 한국경제의 가계·기업‧정부 등 3대 주체 모두 부채가 초고속으로 불어나면서 위험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

   
▲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광고 안내판. /사진=연합뉴스


3일 연합뉴스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발표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인용하며 관련 소식을 전했다. 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08.1%를 기록했다. 이는 5년 전인 2017년(92.0%)보다는 16.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중에서 유일하게 두 자릿수대 증가폭이다. 한국에 이어 슬로바키아 9.1%포인트, 일본 7.7%포인트, 요르단 6.0%포인트, 룩셈부르크 3.9%포인트, 칠레 2.8%포인트, 스위스 2.5%포인트, 독일 2.3%포인트 순이었다.

미국(79.5→77.0%)을 비롯해 캐나다, 네덜란드, 영국, 오스트리아, 덴마크, 노르웨이, 포르투갈, 그리스, 아일랜드, 폴란드 등은 가계부채 비중이 감소했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중이 빠르게 늘면서 절대 수준도 스위스(130.6%)에 이어 2위로 뛰어올랐다. 2017년에는 26개국 중 7위였다.

기업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증가폭이다.

한국 기업부채 데이터는 IMF에서 집계를 시작한 2008년 152.6%를 기록한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가 2017년 147.0%, 2018년 149.8%, 2019년 154.9%, 2020년 164.8%, 2021년 166.8% 등으로 지속해서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가계부채와 기업부채가 급증하면서 GDP 대비 민간부채(가계+기업) 비율 역시 초고속으로 상승했다. 한국의 민간부채의 비율은 2017년 238.9%에서 지난해 281.7%로 4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데이터 확인이 가능한 26개국 중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인 2017년 한국의 GDP 대비 민간부채 비율은 전체 11위였지만, 가파른 상승세로 매년 순위를 끌어올리면서 지난해에는 전체 2위로 올라섰다.

경제의 버팀목 격인 중앙정부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부채에 직면해있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정부 부채는 GDP 대비 54.3%를 기록했다. 2017년 40.1%보다 14.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정부 부채 증가폭은 비교가능한 87개 중 16번째를 기록했다.

절대 비율에서는 GDP의 절반 수준으로, 일본(261.3%)·이탈리아(144.4%)·미국(121.4%)·프랑스(111.7%)·캐나다(106.6%)·영국(101.4%)·독일(66.5%) 등 주요 7개국(G7) 국가들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다만 달러, 엔화, 유로화, 파운드화 같은 기축통화 보유국과 단순 비교하기 어려운 데다 우리 정부 부채의 대외채무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디어펜=성동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