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문상진기자] 지난 3월 국회에서 여야 합의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특별법(이하 아문법)이 통과되면서 아시아문화전당을 둘러싼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설계구조와 콘텐츠 저하의 문제, 낮은 이용률로 인한 연 800억 원 이상의 운영 적자 등이 그 지적이다.

   
▲ 새정치민주연합의 광주광역시 지역구 의원들이 아시아문화전당의 직제와 인력에 못을 박는 아문법 재개정안을 발의했다. 예산낭비, 돈먹는 하마라는 비판이 무색할 정도다./사진=미디어펜

국내 최대의 문화시설 위용을 자랑하는 광주 아시아문화전당은 오히려 '돈먹는 하마'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아시아문화전당 관련 지역구 의원들(광주광역시 등)은 정부의 직제, 정원 축소 시행령에 반발하여 해당 직제와 운영인력을 법률로 못을 박는 내용읜 아문법 재개정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하여 바른사회시민회의는 논평을 통해 인력확대보다 건물설계 이상과 예산낭비 등 산적한 문제부터 해결하라는 주장을 폈다. 아래는 바른사회시민회의의 논평 전문이다.

[논평]

아시아문화전당, 인력확대보다
건물설계 이상과 예산낭비 등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9월 개관하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대한 논란이 거세다. 정부가 시행령을 통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과 문화전당의 직제와 정원을 축소하자, 새정치민주연합 박혜자 의원 등 지역의원들은 직제와 운영인력을 법률로 못 박는 내용의 개정안을 발의했다. 해당 지역인 광주의 문화단체들도 조직 확대를 요구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위상에 걸 맞는 조직과 인력이 뒤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인력이 부족하면 어렵사리 건립된 아시아문화전당의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조직이 무조건 커야하는 게 아니라 규모가 적정한가이다.

아시아문화전당을 둘러싼 문제는 지난 3월 여야 합의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특별법(아문법)이 통과되면서부터 드러났다. 이 개정안은 아시아문화전당을 국가소속 기관으로 지정하고 운영비 등 각종 비용을 국비로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매년 800억 원 이상 운영비가 들어간다고 하니, 또 하나의 ‘돈 먹는 하마’ 시설이 탄생하는 셈이다. 벌써부터 건물의 설계구조상 문제, 빈약한 콘텐츠, 낮은 이용률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런 마당에 야당 의원이 조직 축소 시행령에 반대하며 아시아문화전당의 직제를 아예 법률에 명시하자는 것은 넌센스가 아닐 수 없다.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될 것이 뻔히 보이는데도 지역구 표심과 인력확대에만 혈안이 된 듯하다. 아시아문화전당이 앞으로 국내최대 문화시설로서의 위상을 가지려면 정치권은 직제 논쟁을 벌일 때가 아니라 지금 제기된 시설의 설계문제나 콘텐츠 등 전당의 내외형적 부분들을 먼저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2015. 7. 31
바른사회시민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