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에 차수벽 설치해 지하수 저장…용수 공급 원활 효과
산간지역 샌드댐 설치·지표수 인공 함양 등 지하수 확보 추진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상수도 설치가 어려운 전국 섬, 내륙 등 물 부족 지역 10곳에 지하수 흐름을 막는 저류댐이 설치된다. 지하에 차수벽을 설치해 지하수를 저장하겠다는 건데, 이를 통해 용수 공급이 원활해 짐에 따라 매년 발생하는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일정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 지하수저류댐./사진=환경부


환경부는 올해부터 전국 상습 물 부족 지역 10곳을 대상으로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을 확대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 2020년부터 생활용수 확보가 어려운 옹진군 대이작도와 영광군 안마도, 완도군 보길도 등 섬 지역 3곳에 지하수저류댐 설치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이 중 완도군 보길도에 설치된 지하수저류댐의 경우 지난해 초 발생한 극한 가뭄 때 보길도와 인근 노화도 주민 8000여 명이 약 50일간 사용 가능한 물 12만 톤(㎥)을 인근 저수지로 공급해 가뭄 해결에 도움을 준 바 있다.

환경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지하수저류댐 물 공급 효과를 확인한 만큼 올해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 대상지를 내륙을 포함한 10곳으로 늘렸다. 

앞서 환경부는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지하수를 활용하기 위해 최근 '지하수자원확보시설 중장기전략'을 최근 수립했으며, 가뭄피해와 용수부족 예상지역 등을 고려해 전국 지하수저류댐 유망지 80곳에 대한 설치 우선순위를 설정했다. 

사업 대상지 10곳은 통영시 욕지면(욕지도), 옹진군 덕적면(덕적도, 소야도), 양평군 양동면, 강릉시 연곡면, 영동군 상촌면, 청양군 남양면, 영덕군 영해면, 보령시 주산면, 완도군 소안면(소안도) 등이다. 욕지도, 덕적도, 양동면 등 3곳은 올해 상반기 중 착공하며, 나머지 7곳은 지하수저류댐 설계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들 대상지는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지난해 4월 25일 의결한 '영산강·섬진강유역 중·장기 가뭄대책'과 환경부가 같은 해 6월 23일 공고한 '제4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2022~2031)' 등에서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 유망지점으로 제안된 곳들이다. 

   
▲ 지하수저류댐 추진 현황./사진=환경부


환경부에 따르면 설계를 앞둔 7곳 중 소안도는 2022년 10월부터 2023년 5월과 지난해 극심한 가뭄 시기에 섬 내 저수지 저수율이 3%까지 하강하는 등 해당 기간에 2일 급수, 5일 단수, 제한급수 등이 시행됐다. 영동 산천의 경우 지역 내 급수원인 궁촌저수지의 낮은 수질로 인해 수질 개선 작업을 해야 하는 기간 동안 지하수저류댐을 활용해서 대체 수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보령 주산은 보령댐의 방류량이 부족해 농업용수로도 부족한 상황임에 따라 지하수저류댐으로 확보된 용수를 농업용수와 하천유지용수 등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환경부는 지하수저류댐 설치 유망지 추가 10곳에 대해 지형·지질과 규모, 물량 등을 상세하게 조사해 향후 설치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저류댐이 아닌 상시적으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수도관 등을 보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상수도 보급률은 굉장히 높은 상황이지만, 지하수저류댐 추진 지역들은 상수도 보급조차 어려운 지역 위주로, 도서지역 일원이나 내륙지역이라 할지라도 산간지역 위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하수저류댐 구축을 위한 지하공간 개발 우려에 대해서는 "지진이 났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는 몇십 ㎞ 미만의 공간을 건드리는 것이 아닌, 지하공간 평균 50m 정도의 공간을 활용하기에 깊이에 대한 우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며 "지하수저류댐 설치 시 기본적으로 내진설계는 다 포함해서 진행하고 있고, 일본·태국 등에서도 운영 중"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하수저류댐 뿐만 아니라 산간지역에 모래 등을 채워 물을 저장·이용하는 시설인 샌드댐을 설치하고, 지하수량 확보를 위해 물이 많은 시기에 지표수를 땅속에 인공적으로 함양하는 등 다양한 지하수 확보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