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성비' 있는 중소 브랜드 인기…현지 소비자 니즈 파악해야 현지 브랜드에 밀리지 않아
   
[미디어펜=이다빈 기자]국내 뷰티업계 부진을 타개할 열쇠는 해외에 있다고 뜻이 모아졌다. 코로나19 이후에도 국내 소비심리 악화와 중국 사업에서의 부진으로 고전을 겪고 있는 뷰티 대기업들은 북미와 일본, EMEA 등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침체된 실적을 빠져나오기 위한 해답으로 해외 사업을 점 찍은 이상 기존 'K-뷰티'의 이미지였던 한류 배우나 아이돌을 앞세운 마케팅으로는 부족해 보인다.

물론 지금도 국내 기업들이 성능을 앞세워 제품을 알리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K-뷰티' 제품을 선택하는 이유가 온전히 제품의 효과에만 있는 건 아니다. 어느정도 한류의 인지도에 기대고 있다. 멀지 않은 미래에 국내 제품이 온전히 제품력만으로 세계 시장에 인정받길 바라는 이유다.

한류는 고유의 문화라는 생각에 대체 불가능해 보이지만 현지 브랜드와의 제품 경쟁력에서 밀렸을 때 메리트를 잃는다. 특히 해외로 수출되는 브랜드들은 현지 브랜드와의 가격 경쟁에서 뒤쳐지기 쉬운데 품질 차이가 탁월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K-뷰티를 선택하기 어렵다.

최근 국내 기업의 중국 사업이 부진한 이유 중 하나로 전문가들은 저렴한 중국 현지 브랜드들의 제품 퀄리티가 눈에 띄게 좋아진 이유도 주요인으로 꼽고 있다. 

얼마 전 한 인기 뷰티 유튜버가 같은 카테고리의 중국 현지 제품과 국내 제품을 비교한 컨텐츠가 화재가 됐다. 몇 년 전 제품 비교 컨텐츠에서는 낮은 품질에 혹평을 받았던 중국 현지 제품이 최근 컨텐츠에서는 국내 브랜드와 비슷한 품질을 갖춰 눈길을 끌었다.

뷰티업계는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해 해외 수출을 위한 고가의 프리미엄 라인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고급화 전략도 방법이지만 현지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기 위해 폭 넓은 소비자 층을 타겟으로 한 제품 개발도 기대해본다.

최근 중소형 브랜드들의 해외 인기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해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액이 20% 성장한 53억8000달러를 달성하는 등 해외 소비자들이 '마녀공장', '조선미녀', '롬앤' 등 인디 중소 브랜드를 찾고 있다. 이들은 브랜드 파워보다는 '가성비' 후기와 입소문을 듣고 손길을 뻗었다.

정확한 시장 분석도 필수적이다. 업계도 시장의 니즈에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피부나 입술 등 기초 관리에 관심 있는 북미 소비자들을 겨냥해 '라네즈'의 립 슬리핑 마스크, 스킨케어 브랜드 '설화수' 등을 내세워 성장하고 있다. 지난해 인수한 스킨케어 브랜드 '코스알엑스'도 약진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색조 화장품 인기가 좋은 일본 시장을 겨냥해 '힌스', '에스트라' 등을 앞세워 색조 브랜드를 중심으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의식있는 소비를 추구하는 젊은 소비자 층을 겨냥한 아이템도 경쟁력으로 인정 받을 수 있다. 동물실험 배제와 더불어 환경을 위한 유해 의심 성분 사용을 지양하는 '컨셔스 뷰티'는 트렌드가 아닌 필수 소비 윤리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보다 비건 인구 비율이 높은 국가에서 특히 컨셔스 뷰티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소비자들의 니즈를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기업의 연구와 적극적인 신제품 개발 투자가 있다면 'K 계급장'을 뗀 'K-뷰티'도 글로벌 시장에 안착하기 모자람이 없다고 자신한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