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보호생물 91→120종 확대…보호조치 강화
유해해양생물 등급제 도입·해양생태관광 촉진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우리나라 해양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해양생물다양성 보전에 나선다.

   
▲ 해양수산부 정부세종청사./사진=미디어펜


해양수산부는 18일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7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현재 기후변화 등으로 해양생물다양성이 지속 감소하고 있어 전 지구적으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행동이 요구되고 있고, 해양생물다양성 보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난 2022년 발간된 지구생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반세기 동안 상어와 가오리 등 상위포식자 18종 중 71%가 감소했고, 네이처에서는 2100년 해양생물 중 최대 84%가 멸종 위험 등이 있는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해양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할 수 있도록 '해양생물다양성 보전대책'을 수립했다.

먼저 지리적·지형적 중요 지역과 중요 갯벌 및 해양포유류 서식처 등을 중심으로 대형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해 지난해 기준 1.8%에 머물렀던 해양보호구역을 2030년 30%까지 확대한다.

해양보호생물 지정·관리 체계 개선과 해양보호생물을 기존 91종에서 120종으로 확대 지정하고, 해양포유류 혼획 방지 등 해양생물 보호조치도 확대한다.

해양보호생물 서식실태를 5년 주기로 정기조사하고 2025년 준공 예정인 국립해양생물 종복원센터의 종복원 기술 개발을 통해 인공증식 종·개체수를 확대한다. 바닷새 서식처와 산호초 군락지 등 복원과 관련 인프라도 늘려나갈 계획이다. 

해양생물다양성 위험 요인도 관리한다.

해파리·갯끈풀 등 유해해양생물 모니터링과 신속대응체계를 구축해 선제적 대응하고, 한·중·일 협의체 등 인근 국가와의 협력 강화와 해파리 폴립 제거 및 모니터링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을 위해 기후변화 지표종 활용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해양생물종별 취약성 평가로 지역별 적응 시나리오를 수립한다. 해양산성화 대비 해역별·수층별 조사도 실시한다.

가로림만 등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고, 갯벌생태마을 지정·운영 등을 포함한 해양생태관광 활성화 계획을 수립한다.

해양생물을 활용한 소재 개발·국산화·표준화를 추진하고, 미세조류 대양배양 기술 확보 등 안정적인 해양생물 소재 공급기반을 조성한다.

또한 해양수산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운영을 내실화하고, 국제협약상 이익공유(ABS)를 위한 역량을 강화한다. 

생물다양성협약(CBD)과 람사르협약, 유네스코 등 국제협약을 충실히 이행하고, 개발도상국 해양생물다양성 역량 강화를 위한 ODA 사업을 추진한다. 현재 정부는 세계유산위원회 권고에 따라 '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2단계 확대 등재를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민간기업의 해양환경 ESG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중점 발굴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유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