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방역 당국은 스테로이드 제네릭 '덱사메타손'을 코로나19 중증 환자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면역 감소로 인한 부작용이 우려돼 전문가와의 협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17일 열린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덱사메타손은 스테로이드 계통 약물로 오래 전부터 사용해왔던 약물로 염증 반응을 좀 줄여주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병원에서도 그런 목적으로 처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 본부장은 "일각에서는 해당 약물이 코로나19 염증반응을 줄여줄 수도 있지만 면역을 떨어트려 다른 부작용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는 상황이다"며 "현재는 염증 반응을 완화시켜주는 약물 정도로 판단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임상연구는 전문가와 협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들은 임상, 중앙임상전문위원회에서 충분히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덱사메토손의 국내 공식 도입 계획에 대해서는 "이미 염증 완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약품이기에 새롭게 적응증을 추가하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외신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진의 연구 결과 덱사메타손을 투여받은 코로나19 환자의 치명률이 무려 3분의 1이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심각한 증상의 환자 8명 중 1명꼴로 회복됐으며, 산소치료를 받은 환자 경우 25명 중 1명꼴로 회복 효과를 보였다. 경증 환자 경우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