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관리부실'로 피해 계속 커지는 추세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운송 중 ‘상온 노출’이 의심돼 사용 중단된 독감백신 접종자가 계속 불어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4일 질병관리청 발표에 따르면, 유통 과정에서 상온 노출이 의심돼 접종이 중단된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은 지난 2일까지 총 2303명으로 확인됐다. 질병청은 지난 달 22일 최초로 사고가 발생해 백신 사용 중단 결정을 내렸을 때만 하더라도 해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례는 1건도 없다고 발표한바 있다. 

   
▲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지난 달 25일 문제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105명으로 집계된 이후 연일 숫자가 불어나는 추세다. 결국 일주일 사이에 접종자 숫자는 2300명을 넘겼다.

질병청 집계 결과 접종 사례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 광주, 전북 등이며 강원과 울산에서는 접종 사례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의료기관이 아직 현황을 제대로 보고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 앞으로도 접종자가 없을 것이라 예단할 수는 없다.

질병관리청 발표와 다르게 접종 건수가 늘어난 이유로는 ‘의료기관의 부실 관리’가 꼽힌다. 집계에 따르면 정부 조달 무료 독감백신을 지난 달 21일까지 접종받은 사례는 총 142개 의료기관에서 1599건이다. 이후 접종 중단이 알려진 23~28일 사이에 접종한 사례는 245건으로 집계됐다. 

질병당국은 22일 접종 사례 458건은 21일 밤 늦은 시간 접종 중단이 고지된 만큼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고 진행된 접종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21일 이전과 23~28일 사이 접종 사례는 모두 의료기관이 독감백신 예방접종 사업 지침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무료백신 물량을 사업 시작 전인 21일 이전이나 중단 고지일 뒤인 23일 이후에 접종하는 등 기간을 준수하지 않았거나, 총량구매·현물 공급된 백신을 사업대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 관련 지침을 어겼다는 의미다. 

의료기관은 통상 개별 경로를 통해 구비한 유료접종 물량과 정부 무료 백신 사업을 위해 받은 무료 접종 물량을 따로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두 물량이 섞이거나, 유료 접종 수요가 있을 때 무료 접종을 위해 구비한 물량을 제공하는 등 관리가 부실해지면서 피해가 더욱 커진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관할 지자체에서 사실을 확인한 뒤 (해당 의료기관에) 적합한 조치를 내릴 예정”이라면서 “지침을 준수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이번 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참여 제한, 계약해지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