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GC녹십자, 역성장...뒤늦은 코로나19 영향
[미디어펜=김견희 기자]국내 주요 제약 업체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되는데도 불구하고 비대면 영업, 기술료 도입 등을 통해 올해 1분기 실적 선방한 것으로 전망된다.

   
▲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연구원들이 의약품 개발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사진=유한양행 제공


28일 증권가에 따르면 유한양행은의 1분기 매출액 추정치는 연결 기준으로 전년 대비 13.6% 증가한 356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기저효과로 1127% 오른 132억원으로 추정된다. 베링거잉겔하임과 길리어드사이언스의 계약금 일부와 지난해 수령받은 얀센의 마일스톤 일부가 반영되면서 실적을 크게 끌어올렸다. 수령 규모는 약 140억~150억원 수준이다.

유한양행은 올해 2, 4분기 추가 마일스톤 수령도 기대된다. 선민정 하나금융투자증권 연구원은 "2분기 베링거잉겔하임에 기술수출한 YH25724가 임상 1상에 진입하면서 1000만 달러(약 111억원)의 마일스톤이 들어올 것으로 보이며, 4분기에는 길리어드로 기술이전된 NASH 치료제 선도물질이 도출되면서 100억원 가량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또 유한양행은 올해 3분기 국내 출시 예정인 자체 개발 신약 '렉라자'와 개량신약 품목들로 이익률을 개선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렉라자는 지난 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부터 조건부 품목허가를 받은 이후 현재 약가 협상을 진행 중이다. 

종근당은 올해 1분기 실적도 호조세인 것으로 관측된다. 별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9% 증가한 3191억원, 영업이익은 22.2% 증가한 319억원으로 추정된다. 케이캡, 프롤리아 등 주요 품목들이 두자릿 수 성장을 기록하면서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비대면 영업을 진행하면서 광고선전비가 21.4% 절감된 영향도 있다. 케이캡의 경우 HK이노엔이 개발한 30호 국산 신약이다. 종근당과 공동판매계약을 맺고 있다. 

선 연구원은 "종근당의 톱10 품목들이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면서 영업이익을 견인했다"며 "지난해연간 매출액 1471억원을 기록한 대형 품목 '자누비아' 마저 두 자릿수 성장할 정도다"고 말했다. 

반면 GC녹십자와 한미약품은 코로나19 영향을 피하지 못한 분위기다. 

GC녹십자의 올 1분기 매출액은 연결 기준으로 전년 대비 약 8.7% 감소한 2810억원, 영업이익은 약 49% 감소한 31억원으로 추정된다. 올해 1분기 독감 백신 매출이 전무한 데다가 조스타박스와 가다실 등 도입백신 유통이 올해부터 종료된 영향이 크다. 조스타박스와 가다실은 지난해 각각 492억원, 908억원 매출을 올린 품목이다. 선 연구원은 "GC녹십자는 전체적인 매출 볼륨이 약 1400억원 감소하며 올해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약 2.1% 감소, 역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비교적 선방했다.  회사는 전날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5% 감소한 2703억원, 영업이익은 4.2% 증가한 299억원을 달성했다고 잠정 공시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여파에 따라 수출이 감소한 영향으로 매출액도 역성장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다만 복합신약 아모잘탄패밀리와 로수젯 등이 두자릿 수 성장하면서 실적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의약품 시장 조사 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복합신약 아모잘탄패밀리은 287억원, 로수젯은 266억원 처방 실적을 올렸다. 

이에 대해 선 연구원은 "아모잘탄패밀리, 로수젯 이 외에 한미약품의 간판 제품인 에소메졸, 팔팔 등의 개량신약들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며 "이는 성장 한계에 이른 것으로 보이며 블록버스터급 개량신약을 출시하지 않는 이상 2018~2019년과 같은 고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