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 발간
[미디어펜=이동은 기자]건설업계가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 나섰지만 아직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전환의 3단계에 맞춰 건설정보를 표준화하고 업무를 체계화해 생산성을 높이고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 건설업계가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아직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2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간한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은 아날로그 정보의 디지털화에서부터 출발하는데 일반적으로 △정보 디지털화 △업무 디지털화 △디지털 전환 등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인 정보 디지털화는 기존 아날로그 자료와 콘텐츠를 디지털화하는 것이며, 업무 디지털화는 정보 디지털화에 따라 새로운 업무 범위와 조직,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단계다. 디지털 전환은 디지털화를 통해 기존 사업 영역을 벗어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는 단계다.

디지털화하면 △생산성 향상 △디지털 기술 접목을 통한 고부가가치 증대 △현장 위험 상황 예측을 통한 리스크 감소 △건설 과정에서의 폐기물 감소·탄소 배출 감소를 통한 친환경 대응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건설사들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등 스마트 기술을 건설업무에 도입해 생산성 혁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건설사들의 노력에도 표준화·규격화가 어려운 건설 산업적 특성 때문에 디지털화에 따른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건설산업은 단위 작업이 적용되는 시점마다 여건이 달라지고, 연계 작업 프로세스도 외부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최적화된 작업 방식이나 프로세스를 도출하기 어렵고, 정보통신 기술의 도움을 받기도 어렵다.

실제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국내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디지털 전환 현황을 조사한 결과 30위권까지는 디지털화 수준이 비슷하지만, 그 이하에서는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10위권 기업은 빌딩정보모델링(BIM)을 대부분 사용하고 경영정보시스템(MIS)을 보유하고 있으며, RFID, 생체인식 기술, 드론, 3D 스캐너, 스마트 센서, 가상현실 등 스마트 건설기술들을 일부 적용하고 있다.

11~30위권 기업은 절반 정도의 업체가 BIM을 사용하고 있으며, 31위권 이하 기업은 전체 업무의 70%를 엑셀 등 범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수행하고 전사적 자원관리(ERP)나 건설정보관리정보시스템(PMIS) 등을 사용하는 비율은 20%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디지털 전환의 각 단계에 맞춰 건설정보를 표준화하고 업무를 체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우영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원은 “향후 정보 디지털화 및 업무 디지털화와 함께 건설정보를 표준화하고 업무를 체계화함으로써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생산성 혁신 방향을 도출해야 한다”며 “나아가서는 기업별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사업 영역을 창출하는 방향을 도출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