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출마 위한 주소지 이전 의혹에 "옮긴 적도 옮길 생각도 없어"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은행권을 중심으로 거론되는 연체율 상승 문제에 대해 "특정 금융기관 및 특정 섹터에 지나치게 튈 뿐"이라며 충분히 관리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 원장은 30일 서울 영등포구에서 열린 우리은행 '영등포 시니어플러스 영업점 개점식' 행사 이후 기자들과 만나 "(은행권의) 연체율 상승은 작년 말에도 말했듯 추세상 연체율이 오를 수밖에 없는 그 흐름에 대해서는 이미 예측하고 있다"며 "평균적인 연체율이 문제가 아니라 특정 금융기관이나 특정 섹터에 지나치게 튀는 상황이 나옴으로 인해 불안감을 야기하거나 특정 금융기관들의 건전성 이슈가 생기는데 그런 부분들에 대해 좀 중점적으로 챙겨보고 있다"고 전했다.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30일 서울 영등포구에서 열린 우리은행 '영등포 시니어플러스 영업점 개점식' 행사 이후 기자들과 만나 최근 은행권의 연체율 상승 우려에 대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사진=금융감독원 제공


이 원장은 연체율 상승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도 은행권의 연체율이 충분히 '관리가능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미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촉발된 국내 인터넷은행의 위기설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대표적으로 토스뱅크는 인터넷은행 3사 중 중금리대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고, 이로 인해 부실채권 확대 및 연체율 상승, 짧은 업력에 따른 순손실 지속 등의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이를 이유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토뱅에서 현금을 인출해야 한다는 음모론이 퍼지며 '뱅크런(현금 대량인출 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원장은 "SVB 사태 등으로 인한 일반적인 불안감이 커진 것은 맞고, 거기에 따라 온라인 배경으로 이뤄진 금융거래의 신속성 때문에 추가적인 걱정이 있으신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도 "장기 국공채를 많이 보유하고 있어서 금리변동으로 인한 리스크가 직접적으로 재무제표에 영향을 미치는 SVB 등과 달리 저희(국내 인터넷은행)는 채권 비중이 낮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증권도 단기채 위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가격 변동 위험이 그리 크지 않고 실질적인 밸류에이션 이슈가 그렇게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여신 측면에서 볼 때도 부보 대상이 되는(예금자보호제도 적용을 받는) 가계 여신비중이 크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른 외국에서 발생한 은행 이슈와는 좀 더 절연돼 있는 게 아닌가 보고 있다"면서도 "발생 가능할 수 있는 여러가지 이슈를 챙겨보기 위해 일별·주별·월별 다양한 지표라던가 이런 것들을 챙기고 은행 등을 비롯한 금융기관과 소통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대외적 금융리스크가 국내에 미칠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 원장은 "미국 국공채 금리라던가 그에 연계된 우리 국내 단기시장금리들이 상대적으로 하향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민들께서 은행들의 노력, 최근 단기자금시장 안정으로 인한 (잔액기준 코픽스 등) 시장 평균금리가 떨어지는 것을 상반기 중 어느정도 느끼실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어려운 와중에도 좀 더 긍정적인 방향성에 대해 기대를 갖고 있는 상황이다"고 전했다. 

다만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은행들을 중심으로 추가 위험요인을 점검하겠다고 부연했다. 

최근 4대 금융지주가 임기만료를 앞둔 사외이사들을 대거 연임시킨 가운데, 이 원장은 지주사 행보를 '옳고 그름'으로 판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이 금융권의 지배구조 선진화를 주문하면서, 금융당국은 이사회 거수기 이슈를 재정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원장은 지난 24일 "4월 이후 이사회와 관련된 여러 논의를 준비 중이고, 어떤 방식으로 논의하는 게 좋을지 고민하고 있다"며 "새로 취임한 금융권 최고경영자(CEO) 및 이사회와 논의를 취합해 로드맵을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이 원장은 사외이사 특정 개개인의 적합성을 논하기보다, 사외이사 구성 및 선임 절차 등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원장은 "어떤 분이 사외이사가 되는 게 적절한 지 내지 몇 명이나 바뀌는 게 좋은 지 등 이런 류의 개별적인 이슈는 해당 금융회사 내지 금융그룹에서 판단할 내용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특정 사외이사 한 분이 적절하냐 안 적절하냐 보다 사외이사의 전체적인 구성이 어떻게 되는 게 바람직하고 사외이사가 추천되는 프로세스가 좀 더 이해관계에 직접 관련해 있는 주주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형태로 진행되는 게 바람직하지 않은가 등을 포함한 여러가지 원칙이나 절차를 말씀드린 것이다"고 전했다. 

아울러 이번 3월 주총에서 일회적으로 끝나는 이슈가 아닌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는 점을 거론하며 "당국 내부에서도 각 회사들의 고유 사정에 맞는 노력을 뒷받침해드릴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내부에서 논의하고 있다. 너무 늦지 않은 시기에 발표를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검찰이 '대장동 50억 클럽'을 수사하기 위해 이날 우리은행을 압수수색한 가운데, 이 원장은 이에 대해 특별한 의견을 내놓지 않았다. 그는 "검찰 수사상황에 대해서는 전혀 잘 모르고 있다"며 "잘 모르는 내용을 전제로 해서 예민한 수사, 특히나 압수수색 등 상황과 관련된 것으로 보면 지금 이 자리에서는 (답변이)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혹여 기회가 있게 되면 한 번 저희(금감원)도 점검해볼 테지만 직접적으로 저희가 그 부분에 관련된 이슈가 있을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또 일각에서 이 원장이 총선 출마를 위해 주소지를 영등포구나 동작구 등으로 옮겼다는 풍문에 대해서는 "계속 10년째 살고 있는 집에 아직도 잘 살고 있다"며 "주거지를 옮길 생각도 없고, 옮긴 적도 없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