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병화 건설부동산부장.
[미디어펜=김병화 기자]계묘년(癸卯年)이 저물고 있다.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전례 없는 위기를 맞은 건설업계에는 괴소문도 무성하다. 유동성 위기설부터 부도설까지, 출처도 없고 근거도 없다. 벼랑 끝에 선 건설사들이 찌라시(소문을 담은 쪽지)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1군 건설사 부도 엠바고, 오후 2시 예정’

지난 15일 오전 직장인 익명 온라인커뮤니티에 올라온 찌라시가 일파만파 확산됐다. 엠바고는 일정 시점까지 보도 유예를 뜻한다. 언론에서 자주 사용하는 용어다. 내용인즉, 오후 2시에 1군급 대형건설사가 부도 발표를 할 예정이고 그때까지 보도하지 말아 달라는 것이다.

곧이어 해당 1군 건설사를 태영건설로 지목하는 후속 찌라시도 쏟아졌다. 태영건설 본사 직원들은 부도와 관련해 이미 다 알고 있다는 등 보다 구체적 내용까지 포함됐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후 2시 부도설의 주인공은 나타나지 않았다. 웃지 못할 해프닝이었다. ‘아니면 말고’식 언론 보도도 그제야 멈췄다.

안팎으로 시달린 태영건설은 아수라장이 됐다. 추가 피해 우려에 협력사 문의는 빗발치고 주가도 급락했다. 태영건설 주가는 전일 대비 11.6%나 하락했다.

   
▲ 태영건설 본사 여의도 사옥./사진=태영건설

태영건설 찌라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강원 레고랜드 부도사태 이후 잊힐만하면 유동성 위기설이 터져 나온다.

지난해 이맘때 불거진 ‘건설사 부도 리스크’ 찌라시에는 부도임박 건설사 목록에 포함됐다. 또 지난 9월에는 유동성에 문제가 있다는 소문이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확산됐다. 당시 금융감독원 합동 루머 단속반에 신고하는 등 강력 대응에 나섰지만 이번에 또다시 터진 것이다. 태영건설이 참담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다.

악성 루머의 배경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채무다. 9월 말 기준 태영건설의 PF 우발채무는 약 3조4800억원이다.

하지만 해당 수치에는 허수가 포함돼 있다. 국가에서 보증해주는 사회간접자본(SOC) PF 1조원과 분양이 75% 이상 완료돼 금융권에서 안정적으로 판단하는 PF 1조원 등 2조원을 빼주면 2조5000억원 수준이다.

유동성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태영건설의 자구 노력도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1월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로부터 4000억원 규모 자금을 조달받았고, 태영인더스트리 등 계열사를 매각해 이달 중 3000억원 가량 입금될 예정이다.

실적도 양호하다. 태영건설은 올해 3분기(연결기준)까지 매출 2조3891억원, 영업이익 97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2%, 311% 늘어난 수치다.

90세 고령의 창업주도 구원투수로 등판했다. 1933년생 윤세영 태영그룹 창업회장은 아들 윤석민 회장에게 회장직을 물려준 지 5년여 만에 경영 일선에 복귀한다.

임직원 모두가 사활을 걸고 경영정상화에 매진하고 있다. 비단 태영건설 뿐만이 아니다. 건설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된 가운데 저마다 돌파구를 찾고 있다.

위기 극복에 찬물을 끼얹지 말아야 한다. 괴소문이 기업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 찌라시 한 장에 건실한 기업도 쓰러질 수 있다.

갑진년(甲辰年) 새해가 다가오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따뜻한 무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디어펜=김병화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