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교과서에 반대하는 교수들 다수가 과거 교학사 교과서 무효화 및 '자유민주주의' 용어 채택을 반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고시에 반대해 3일 오전에 예정된 국회 본회의를 비롯한 모든 의사일정을 거부하고 항의 농성을 전날에 이어 이어갔다./사진=미디어펜 |
[미디어펜=김규태기자]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둘러싸고 학계와 지식인들의 찬반 의견을 담은 선언, 성명서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바른사회시민회의(이하 바른사회)가 지난 10월 28일까지 이어진 ‘국정화 집필거부’나 ‘국정화 반대의견’을 표명한 명단을 분석한 결과, 상당수 학자들이 자유민주주의 용어 채택을 부정했거나 교학사 교과서 검정무효화를 외친 사람들인 것으로 밝혀졌다.
▲ ‘자유민주주의’ 용어 채택 반대했던 교수 중, 국정교과서 반대 250명 |
▲ 교학사 교과서 검정무효화 선언했던 교수 중, 국정교과서 반대 228명 |
지난 2013년 10월에는 ‘친일·독재 미화 뉴라이트 한국사 교과서 무효화 국민네트워크’가 중심이 되어 교육부가 검인정 체제에서 통과시켰던 교학사 교과서의 검정을 무효화시키려는 움직임도 있었다.
바른사회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당시 교육부에게 교학사 교과서 검정승인 취소를 촉구했던 현직 교수 655명 가운데 현재 2015년에 들어와 교과서 국정화 반대에 132명이 동참했으며 96명이 집필을 거부했음이 확인됐다.
교학사 교과서를 무효화하자고 선언했던 현직 교수 655명 가운데 228명이 국정교과서에 반대하거나 집필을 거부하겠다고 나선 상황이다. 교과서에 ‘자유민주주의’ 용어의 채택을 반대했던 교수 중 250명 또한 마찬가지다.
바른사회는 국정교과서 반대에 참여한 일부 교수들의 이념적 편향성과 모순을 보도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자유민주주의는 대한민국이 건국 이래 줄곧 추구해왔던 이념이며 현대사에서 우리나라를 존속시켜준 토대이기 때문에 우리의 역사 서술에 있어서도 민주주의는 당연히 자유민주주의이어야 한다. ‘민주주의’ 자체는 인민민주주의나 사회민주주의 개념도 포괄하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가 추구하고 있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제대로 가르치려면 반드시 자유민주주의로 서술되어야 하고 그것은 우리 헌법이 추구하고 있는 가치이기도 하다. 결국 자유민주주의 용어 채택에 반대하는 교수들은 대한민국 헌법이 추구하는 가치를 인정하기 않겠다는 것에 다름 아니며 대한민국 발전의 원동력을 부정하는 것이다.
현재 좌편향성을 지적받고 있는 출판사들의 대표저자인 도면회 대전대 교수(비상교육), 주진오 상명대 교수(천재교육), 왕현종 연세대 교수(두산동아), 한철호 동국대 교수(미래엔), 최병택 공주교대 교수(지학사) 등도 자유민주주의 용어 채택에 반대했었고 서울대에서 국정교과서 반대에 앞장서고 있는 오수창 교수와 유용태 교수 등도 자유민주주의라는 용어가 이데올로기적이라고 비판하며 반대한 바 있다. 성공회대의 한홍구 교수도 명단에 포함돼 있다. 대한민국 현대사의 토대와 헌법의 가치를 오롯이 보지 못하고 편향된 시각을 가진 교수들이 과연 국정 교과서를 반대할 명분이 있는지 의문이다.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하는 진영이 내세우는 주요 논리 중 하나는 바로 교육의 다양성이 국정화로 인해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검인정 제도를 통해 다양한 역사 교과서가 집필되는 것이 그들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가치라면 2013년 교육부가 검정 승인했던 교학사 교과서도 받아들여야 했을 것이다. 교학사 교과서 검정 무효화에 동참했던 전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을 역임한 연세대 이인재 교수, 두산동아의 대표저자 연세대 왕현종 교수, 서울대 역사교육과의 유용태 교수, 국사학과의 남동신 교수 등은 이제 와서 역사 교육의 '다양성' 존중 운운하며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고 있는데 이는 그 당시의 입장과 모순될뿐더러 그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