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민중시인 김수영? 백낙청이 연출한 '가위눌린' 세상

2016-04-25 11:45 | 편집국 기자 | media@mediapen.com
예로부터 한 시대의 문제를 꼬집고 비판하는 문학작품은 대중의 환영을 받아왔다. 그 중에서 일제시대에 태어나 소시민적 슬픔이 담긴 시를 썼던 김수영은 1960년 본격적으로 사회참여시를 쓰기 시작하며 평단에 이름을 알린 대표적 인물이다. 김수영 시인은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일찍 등졌지만 그의 작품은 문단의 지지를 받으며 더 큰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김수영의 사회참여시는 대중의 분노를 만들어내는 도구가 되어버렸다. 자유경제원은 ‘김수영 가짜 신화’가 만들어진 배경과 문단권력을 둘러싼 구조적 문제를 비판하는 자리를 14일 마련했다.

패널로 나선 신중섭 강원대 윤리교육과 교수는 “누군가를 ‘저항시인’으로만 읽어 온 것은 내가 스스로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내가 의식하지 못한 그 무엇의 영향인지도 모른다”며 “김수영도 같은 경우”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김수영이 ‘민중시인’으로 기억되는 것은 조우석이 말하는 ‘백낙청 연출의 좌평사문학사’, ‘백낙청-염무웅의 평론’ 탓”이라며 “이제는 남의 탓을 그만하고 김수영을 자신의 눈으로 다시 읽을 때가 되었다”고 언급했다. 그들의 해석에 매몰되지 않고 가위눌린 세상을 벗어나자는 지적이다. 아래 글은 신중섭 교수의 토론문 전문이다. [편집자주]


신중섭 강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조우석의 ‘김수영 신화 만들기’에 대한 토론문

우리 시대의 애송 시인은 김소월이나 서정주가 아니다. 권위주의 체제를 살아오면서 많은 사람들은 김소월이나 서정주보다는 김지하, 김수영, 윤동주, 박노해, 신동엽을 높이 평가하고 읽었다. 나도 70년대에 김지하의 ‘오적’과 ‘비어’를 이불 속에서 읽었고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에 분노했다. 

그러나 지금은 ‘오적’이나 ‘비어’보다 그의 서정시를 좋아한다. 중1교과서에 실린 “벚꽃 지는 걸 보니 / 푸른 솔이 좋아 / 푸른 솔 좋아하다 보니 / 벚꽃마져 좋아”(새봄)은 아름답다. 이것은 단순히 나이 탓만이 아니라 내가 살아온 시대를 보는 나의 눈에 대한 스스로의 반성, 세상을 항상 새롭게 바라보려는 노력의 결실인지도 모른다. 

김지하를 ‘저항시인’으로만 읽어 온 것은 내가 스스로 그렇게 한 것이 아니라, 내가 의식하지 못한 그 무엇의 영향인지도 모른다. 우리는 사물을 스스로 보기 전에 누군가의 눈을 통해 본다. 그 누군가는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이다. 이런 사실을 깨닫는 순간 우리는 세상을 달리 볼 수 있는 계기를 맞는다.

조우석의 “분노ㆍ양심의 상징 ‘시인 김수영 신화’ 만들기”는 이러한 사실을 잘 보여준다. 나도 김수영의 ‘풀’(1968),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거대한 뿌리’를 즐겨 읽었다. 왜 그랬을까. 아마도 내가 김수영의 시를 내 눈으로 직접 읽지 못하고,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해서 읽어서 그럴 것이다. 나는 ‘그 다른 사람의 눈’이 바로 누구의 눈인가를 조우석의 오늘 발표문을 통해 알게 되었다.  

조우석은 “김수영은 범용한, 고만고만한 시인의 하나가 아니다. 그는 일급 시인이 맞다. 근현대시사는 물론 한시(漢詩)로 된 근대 이전의 시적 전통을 포함해 그는 전혀 매우 새로운 존재의 등장을 알린다. 삶과 문학 사이를 가깝게 만든 위대함이 없지 않고, 우리문학을 풍요롭게 만들어준 것도 사실이다. 그 점에서 그는 근현대시사 빅10의 한 명에 너끈히 낄 순 있다. 그걸 기꺼이 인정한다. 하지만 그가 현대시 사를 대표하는 지존일 수 없다는 것도 분명하다. 더 분명한 건 김수영이 민중시인은 아니라는 점이다.”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수영이 ‘민중시인’으로 기억되는 것은 조우석이 말하는 ‘백낙청 연출의 좌평사문학사’, ‘백낙청-염무웅의 평론’ 탓이다.

그러나 남의 탓만 할 것인가. 그들은 그들의 목적을 위해 김수영을 그런 식으로 해석했다고 하더라도, 우리 사회가 내가 그들의 해석에 매몰된 것은 무엇 때문일까. 몇 사람이 그렇다고 외치면 그렇다고 믿었던 나는 무엇인가? 모두 시대정신, 시대의 열병 탓일까? 이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조우석의 글을 읽으면서 나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김수영의 시를 생각하는 것은 가위눌린 세상을 살아온 개인의 질병일까. 이제는 김수영을 자신의 눈으로 다시 읽을 때가 되었다./자료사진=SBS 스브스뉴스



이제 김수영을 내 눈으로 다시 읽을 때가 되었다. 토론자가 사이버 공간 ‘성숙의 불씨’에 올렸던 “어느 날 구내식당을 나오면서 (2014년 10월 28일)” 가져와 토론을 대신한다.   

학교 교직원 식당에 갔다. 식권을 내밀었는데 오늘은 교직원에게 음식을 판매하지 않는다고 한다. 학교에서 개최한 국제 학술 모임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만 식사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미 그렇게 공지했기 때문에 교직원에게 식사를 제공하지 않아도 정당하다는 말투다. 그러나 그냥 물러설 수 없어 우겨서 점심을 먹으려고 하는데, 나이든 식당 종업원은 난처한 표정이다. 이때 흔히 하는 말은 ‘책임자가 어디 있느냐’고 호통 치는 것이다.

무슨 대단한 일이 벌어진 것으로 생각하고 종업원은 전화통으로 달려간다. 책임자와 통화가 잘 되지 않는다고 난처한 표정을 짓는다. 추측하건대 식당 책임자는 영양사인데 학교 안의 여러 구내식당을 담당하고 있어 연락이 되지 않는 모양이다. 계속 ‘상부 지시’를 기다릴 수 없어 식권을 통에 넣고 배식대로 가서 밥과 반찬을 식판에 담아 마음을 진정하고 밥을 먹는데 밥이 목구멍을 순조롭게 통과하지 않는다. 억지로 밀려들어온 밥을 위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속이 불편하다.

서둘러 대충 식사를 마치고 연구실로 돌아왔는데 마음이 개운하지 않다. ‘그냥 밖으로 나가 점심을 먹을 걸 그랬나’하는 후회도 생겼다. 구내식당 종업원이야 아무 잘못이 없을 터이다. 그냥 위에서 하라는 대로 했을 뿐이다. 현장 종업원에게는 식당을 전체로 예약한 사람들에게 배식할 의무는 있지만, 평소 밥을 먹는 교직원에게 예외적으로 식사를 제공할 수 있는 권한은 없을 것이다. 

요즘 대학은 국제화다 뭐다 해서 해외 학술 행사도 유치해야 하고, 외부 사람들에게 대학의 이미지를 좋게 심어야 한다. 그러니 평소 밥을 먹는 교직원들이 점심을 먹을 수 없는 상황을 당연히 이해할 것으로 생각하고, 관계자는 식당 전체를 학술회의 주최 측에 내어 주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을 이해하지 않고 밥을 먹겠다고 시비하는 것은 擧國的 ‘명분’에 어긋나는 쫀쫀한 태도일지도 모른다. 공동체의 이익보다 개인의 이익을 앞세우는 이기적인 일인지도 모른다. 시인 김수영은 이런 쫀쫀한 태도를 ‘어느날 古宮을 나오면서’라는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왜 나는 조그마한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王宮 대신에 王宮의 음탕 대신에 
五十원짜리 갈비가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같은 주인 년한테 욕을 하고
옹졸하게 욕을 하고 

한 번 정정당당하게
붙잡혀간 소설가들을 위해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越南파병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三十원을 받으러 세 번씩 네 번씩
찾아오는 야경꾼들만 증오하고 있는가 
(후략)

김수영이 민중시인으로 기억되는 것은 조우석이 말하는 '백낙청 연출의 좌평사문학사', '백낙청-염무웅의 평론' 탓이다./자료사진=SBS 스브스뉴스



명분을 위해 산다는 것은 정말 멋있는 일인가. 어째서 오래전에 ‘독립’은 되었지만 아직도 독립 운동을 계속하는 사람들로 이 나라는 꽉 차 있는 것일까. ‘나는 조국과 민족의 무궁한 영광을 위하여 이 땅에 태어났다’고 외워야 하는 세상은 갔으나, 아직도 여전히 그런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사소한 일을 해도 커다란 명분과 대의를 내세워야 하는 사회는 얼마나 피곤한 사회인가.

구내식당을 나오면서 김수영의 시를 생각하는 것은 가위눌린 세상을 살아온 나만의 질병인가. 그러나 생각해 보면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이어지는 안전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를 보면, ‘거룩한’ 명분이 아니라 김수영이 그렇게도 자학(自虐)한 ‘옹졸한 사람들’이 더 많아져야 할 것 같다. 이제 우리 중요한 것은 거창한 명분이 아니라, 일상에서 ‘사소한 것에 대한 충성’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든다. /신중섭 강원대 윤리교육과 교수

[신중섭]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