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가짜 박사 도정일과 한국 지식인 사회의 추악한 민낯

2016-09-21 15:15 | 편집국 기자 | media@mediapen.com

여명 자유경제원 연구원

'시장전체주의'라는 용어를 유행시킨 사람이 있다. 그는 곧잘 이런 말을 하고 다닌다.

 "우리나라는 돈 말고는 다른 가치가 맥을 추지 못하는 사회다. 사회는 시장을 포함하는, 시장보다 훨씬 큰 실체인데 사회를 마치 시장을 경영하듯 해왔기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어떻게 탈피할지 지금부터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경비 절감을 목표로 하는 경영합리화, 비정규직 양산을 통한 경비 절감 등 돈을 인간보다 우선시하는 시장전체주의적 발상을 걷어치우고, 일자리 안정과 기본소득을 보장해 국민들을 생존의 공포로부터 건져내야 한다."

이 사람의 '저서'는 대개 1만8000원을 웃돈다. 교양 저서 치고는, 그리고 시장을 더럽게 여기라는 내용이 담긴 책 치고 비싸다는 생각이 든다.

이 사람은 일명 '세월호 교수'로도 이름이 나 있다. 그의 이름과 세월호를 함께 검색어에 치면 나오는 기사만 30건이다. 시국 선언이니, 세월호 토크콘서트니, 세월호 대담 인터뷰니 하는 것들이 그의 최근 2년간 주 활동 기록이다. 판단컨대 박근혜 정부를 지칭해 '이 무능하고 오만하며 반성 없는 권력에 끊임없이 맞서겠다.'고 공공연히 엄포를 놓는, 소위 '깨어있는 시민'이다. '정의'와 '도덕' 그리고 '가치'라는 단어만 이 사람의 인터뷰나 칼럼에 세 문장 마다 한 번씩 등장한다.  

2009년 7월 21일 문화웹진 '나비' 창간 기자간담회에서 공동 편집인으로 참여하는 도정일 씨가 기자들 질문에 답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이 사람은 경희대학교 영어학과 교수로 30년을 재직하고 동대학 후마니타스 칼리지 대학장을 역임한 도정일이다. 도 교수는 경향신문, 한겨레 신문 등이 우리 사회에 이슈가 터질 때마다 달려가 조언을 구하는 좌익학계의 원로다. 일반인들에게는 다수의 저서를 집필한 인문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도 교수가 경희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을 수 있었던 것은 그의 하와이 대학 박사학위 경력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터다. 그런데 이 학위가 거짓 학위란다. 논란이 일고 있는 지금에야 슬그머니 '하와이 대학 박사과정 수료'라고 네이버 프로필을 수정했지만 1983년 경희대에 임용된 이후 그는 줄곧 '하와이대 영문학 박사'를 대표 이력으로 내걸어왔다.

미국의 학위 확인 기관인 NSC(National Student Clearinghouse)에 따르면 도 교수는 1975년 9월부터 1985년 12월까지 하와이대에 적을 두기는 했지만 석사와 박사 중 아무 학위도 받지 못했다. 경희대에 임용된 1983년 3월 이후 2년 9개월 간, 박사논문을 쓰기 시작한 1981년 이후 4년 이상의 기간 동안 학위를 취득하지 못한 채 졸업연한을 채운 것이다.   

일반인들이 직종에 따라 간이로 석·박사학위를 취득하는 것과 혹은 취득했다고 말하고 다니는 것과 ‘교수’의 그것은 본질적으로 다르다. 교수의 석·박사학위는 교수라는 직업을 갖기 위한 기본 전제이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자 경희대학교 는 '그 시기에는 관행 상 석·박사학위가 없어도 교수 임용이 가능했다' 고 해명했다. 궁색하다. 그렇다손 치더라도 도교수가 한국사회에서 갖고 있는 명예, 위치, 신분 등은 그가 대표이력에 즐겨 명시해 온 대로 '박사'이기 때문에 보장받은 것이다.

그의 표현을 빌어 '이럴 수는 없다. 이럴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정의의 한 부분이 무너지고 있다. 다른 누구도 아닌 정의를 앞장서서 외쳐온 도교수 때문에. '학위를 속이고 세월호의 이름으로 책을 팔아먹으며 강연료를 받아 챙겨 사는 사람.'이 도 교수의 민낯이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한국 변종 좌익의 전형적 특성이기도 하다.

좌·우파는 단순히 정치·이념적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과 태도에서 나뉜다. 겉으로 '정의'와 '가치'와 '인간성의 회복'이라는 아름다운 문장들을 부르짖지만 그 뒤로는 전혀 반대의 속성을 가진이들. 이것이 우리나라 좌익들이  득세하고 있는 소위 지식인 사회다. 또한 이런 사람에게 사회적 이슈가 터질 때마다 대한민국의 조타수 역할을 구하고 있는 경향 한겨레 등의 언론들은 대체 뭐하는 곳인가?

필자와 같은 청년들은 우리 사회에서 또 한사람의 존경할 만한 지식인을 잃었다. 뒤통수를 제대로 가격 당한 격이다. 앞으로 우리는 누구에게서 지혜를 얻고 삶의 자세에 대한 조언을 구할 것인가. /여명 자유경제원 연구원

[여명]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