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프레지던트 리스크'…한국경제에 닥친 내우외환

2016-11-03 11:26 | 김재현 기자 | s891158@nate.com
[미디어펜=김재현 기자]정치 리스크가 경제 시계를 멈춰 세웠다. 다르게 표현하면 프레지던트(President) 리스크다. 미국과 한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온다.

미 대선의 향방은 오리무중이다. 미 연방수사국(FBI)의 힐러리 클린턴(민주당) 대선후보의 이메일 재수사 사태가 도널드 트럼프(공화당) 후보와의 지지율 격차를 줄이며 안갯 속 정국이다.

최순실 비선실세 의혹 관련 정국 정상화를 위해 박근혜 대통령이 책임총리 카드를 꺼낸 2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직원들이 청사를 나서고 있다./연합뉴스

시장에서는 극단적인 트럼프보다 힐러리 클린턴쪽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는 상황이다. 오바마 정책기조를 그대로 따라갈 수 있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판단한다면 시장 충격은 그닥 크지 않을 것이란 차원에서다.

누가 되든 우리 입장에서는 좋지 않다. 두 후보 모두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들고 나온 까닭이다. 신흥국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통화시장에서는 악영향이다.

상대적으로 더 좋고 나쁘냐는 문제다. 클린턴의 승리는 장담하기 어려워졌다. 시장에서의 예견은 보기 좋게 빗나가기 시작했다. 종잡을 수 없는 미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시장에서도 8일(현지시간) 미 대선 결과 전까지 글로벌 증시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졌다.

미 대선이 주는 영향보다 미 금리인상이 더 변수다. 대선을 앞두고 미 연준은 금리를 동결했다. 올해 두번의 인상 가능성이 점쳐졌는데 이제 12월 밖에 남지 않았다.

3일 국제금융센터와 미 연준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에 열린 FOMC에서 연방기금 금리를 0.25~0.5%로 동결했다. 성명서를 통해 금리인상 근거가 계속 강화되고 있다면서 12월 인상 가능성을 뒷받침했다. 미 경제지표가 좋아지고 있지만 미 대선 결과를 기다려보겠다는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과 유럽증시는 트럼프 후보의 지지율 상승 등 미 대선 결과의 불확실성 증대가 투자심리 불안으로 반영되면서 3일 연속 하락세다.

미국 다우지수는 2일 17,959.64를 기록하며 전장(18,038.10)보다 0.4%p 하락했다. 유로 Stoxx지수 전날보다 역시 1.4%p 하락했으며 중국 상하이 지수는 0.6%p, 코스피는 1.4%p 하락했다.

외환시장에서 달러화는 11월 FOMC 성명에서 금리를 동결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통령선거 결과가 시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우려 등으로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이달 1일 1139.90원에서 2일 1149.80으로 전일대비 0.9% 상승했다.

12월이 걱정이다. 연준의 성명서대로 올해 말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된다면 원달러 환율은 빠르게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할듯 말듯한 연준의 금리인상은 신흥국의 통화 강세로 이어지는 형국이다. 물론 여기에는 돈 장사를 하려는 투기세력들이 일부 움직이는 것도 한 몫한다.

아시아 신흥국들의 자금유출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다. 10월 중 아시아 금융시장은 연내 미 금리인상 기대와 하드 브렉시트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약세로 돌아서고 통화가치도 하락했다. 한국, 인도, 대만,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 신흥아시아 7개국의 외국인 주식자금은 한국으로의 유입규모가 줄어들고 인도, 태국, 대만 등은 전월 유입에서 유출로 돌아서 전체적으로 순매도로 전환됐다.  

우리의 통화정책은 여력이 없다. 시장에서는 금리를 내리라고 외친다. 무턱대로 금리인하 카드를 꺼낼 수 없다. 미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 통화정책은 답습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는 결정이다. 미 금리인상으로 외국인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고 정부가 환율을 관치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4월 미 재무부가 환율 감시 대상국에 한국을 포함하면서 이달 까지 손 댈 수 없다. 원화가치 상승이 우리 수출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경제학자들은 2008년 서브프라임 이후 올해 경제가 최악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미 대선과 금리 인상 이슈가 사라지면서 내년은 대외적인 충격이 줄어들 전망이다. 그렇다고 우리 경제가 좋아질 것이냐 측면에서 볼때 의문부호다.

통화정책은 그렇다 치더라도 내수가 문제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경제 부양은 뒷전이다. 정쟁 속에서 국정운영은 멈춰섰다. 거국내각과 하야·탄핵을 저울질 하고 있다. 벼랑 끝 경제를 돌볼 여유가 없다. 분명 내우외환에 닥칠 한국경제가 걱정이다.

전체적으로 올해는 대외적인 영향을 많이 받으며 통화나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쳤다면 내년은 우리 경제의 펀드멘탈은 벼랑 끝 위기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은 한국경제를 건설경기에 기초한 성장모멘텀이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올 4분기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했다.

해외IB들은 한국의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전기대비 0.7%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2분기의 0.8%보다 소폭 하락한 전망이다. 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와 기업구조조정 여파로 민간소비가 줄고 설비투자도 감소세로 전환됐다고 판단했다.

특히 건설경기가 주도하는 성장은 아파트 분양 호조로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미 분양 주택이 늘면서 성장세가 점차 완만해질 것으로 예견했다. 높은 수준의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부담이 경제 하방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소비와 투자도 위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설경기 악화와 3분기 성장률 둔화를 반영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0.2%p 낮춘 2.7%로 점쳤다. 더불어 기업 구조조정에 따란 금융기관의 손실부담과 일자리 감소가 발생할 것으로도 예상했다. 고용부진에 따른 소비위축, 금융권의 대출제한 등 악순환의 연속이라고 전망했다.

서정훈 KEB하나은행 연구위원은 "자동차 사업 파업이라던가 건설경기 위축, 가계부채, 기업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외국인들의 시각이 좋지 않을 가능성으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는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우리경제의 버팀목이 되고 있는 부동산 시장 경기가 죽는다면 자산효과가 떨어져 내수 경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프레지던트 리스크가 대외적으로 어떤 영향이던 받을 수 밖에 없다. 안쪽으로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국정은 멈춰서있어 내수가 걱정이고 바깥쪽으로 금융·외환 시장 걱정이다. 나라살림은 더 옥죄지고 있고 금리인하는 엄두를 못낸다. 주머니는 쪼그라들면서 개인들의 가계는 형편없는 살림이다. 우리가 닥친 가장 큰 위험은 정치리스크다.

[미디어펜=김재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