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군사적 압박 강화를 시사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거듭된 경고에도 북한 김정은 정권이 전날 '태양절(김일성 생일)' 열병식 후 미사일 도발을 강행한 것에 대한 경고음을 보냄과 함께 중국의 역할을 연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서 "우리 군대는 증강되고 있고 역대 어느 때보다 급속히 강력해 지고 있다. 솔직히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발언의 의미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북한의 6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비한 그동안의 화력 과시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 군사행동에 돌입할 수 있다는 최후통첩을 북한에 보낸 것이라는 해석 등이 나오고 있다.
미국은 최근 6차 핵실험을 저지하고자 핵추진 항모전단 칼빈슨호를 한반도 해역에 급파하고 최근 화학무기 공격을 감행한 시리아 공군기지에 토마호크 미사일 융단폭격과 '폭탄의 어머니(MOB)'로 불리는 최대 재래식 무기 GBU-43을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국가'(IS) 근거지에 첫 투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날 다른 트윗 글에서 "중국이 북한 문제와 관련해 우리와 협력하고있는데 왜 내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이라고 부르겠느냐?"면서 "앞으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보게 될 것"이라고 중국 압박에도 나섰다.
대북압박 약속에 대한 대가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았음을 분명히 밝히는 동시에 중국이 가시적인 역할을 해 줘야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왼쪽부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이와 관련해 미 CNN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공약 번복 논란이 일자, 이는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의 협력을 끌어내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점을 항변하는 동시에 향후 북핵 문제 전개 상황에 따라서는 자신의 결정이 다시금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사실상 지난 6~7일 플로리다 주(州)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미·정상회담에서 중국과 북핵·무역 문제에 대한 '빅딜'이 있었음을 천명한 것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기간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 문제를 들어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겠다고 공언했으나 지난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 인터뷰에서 "중국이 몇 개월 동안 환율을 조작하지 않았다. 그들은 환율조작국이 아니다"라고 입장을 180도 바꾼 뒤 지난 14일 정권 출범 이후 처음 발표한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이 아닌 '관찰대상국'으로 유지했다.
중국도 북한산 석탄 반송, 북한행 항공 운항 중단, 북한 관광상품 중단 등 대북압박 수위를 높이며 이전과 달라진 태도를 보이고 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