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재계가 문재인 정부와 코드 맞추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주요 그룹들은 협력사와의 상생 방안과 채용확대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기업들의 정부 정책 발맞추기가 경영부담의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등 주요 그룹사들은 협력자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하반기 채용 규모 확대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는 새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불공정거래관행 근절’과 ‘일자리 확대’ 정책에 보조를 맞추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으로 해석되고 있다.
전날 현대‧기아 자동차는 2‧3차 협력사 지원 방안과 1차-2·3차 협력사 간 상생협력 관리체계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선순환형 동반성장 5대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기아차는 부품산업 지원 대상을 현행 300곳 이상의 1차 협력사는 물론 직접 거래가 없는 5000곳 이상의 2·3차 협력사로 확대할 계획이다.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500억원을 신규 출연, 협력사의 고용 안정과 일자리 창출 등을 지원하기 위한 ‘2‧3차사 전용 상생협력기금’도 조성한다.
앞서 18일 삼성전자는 안전한 협력사 근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1‧2‧3차 협력사들과 함께 협력사 환경안전 개선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2·3차 협력사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고, 외부 컨설턴트 파견을 통해 현장 점검과 개선 활동을 펼친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삼성전자는 반도체 협력사 138곳에 총 201억7000만원 규모의 상반기 ‘생산성 격려금’과 ‘안전 인센티브’를 지급했다. 2010년부터 반도체 협력사를 대상으로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협력사들과 지속적으로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를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도 금융·기술·의료복지 분야의 상생 프로그램 지원 대상을 2000여 개의 2,3차 협력사까지 확대를 골자로 하는 ‘신상생협력체제’를 발표했다.
우선 LG디스플레이는 2015년부터 1차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자체 조성한 400억 원 규모의 상생기술협력자금을 1000억 원으로 늘려 2‧3차 협력사에 대한 금융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LG디스플레이는 ‘신기술장비공모제도’의 대상을 국내외 모든 중소기업과 연구소 및 대학 등 잠재 협력사로 확대하고, 2,3차 협력사도 제조업 최고 수준의 안전한 근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노하우, 전문인력, 비용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SK그룹 등 나머지 대기업들 역시 상생 방안들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SK는 최고경영자(CEO)들이 협력사 지원 방안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6일 서울 양재동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센터에서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 합격자들이 면접을 보기 위해 면접장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아울러 주요기업들은 하반기 채용 확대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KT그룹은 하반기에 4000명의 직원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권오현 부회장이 채용 규모를 늘리겠다는 뜻을 전했다. 재계에서는 삼성전자가 하반기에 최대 5000명을 뽑을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금까지 삼성전자는 하반기 채용 규모는 3500여명 수준이다. 다른 대기업들 역시 채용 확대를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재계 일부에서는 기업들이 새 정부 눈치 보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밉보여 좋을 게 없는 상황에서 각종 상생 계획을 제시하고 있지만 일부 기업에는 경영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실적이 양호한 기업들은 상생 프로그램 확대와 채용 규모를 늘려도 영향이 크지 않다. 반면 현대차와 같이 성장률이 떨어지고 노조 리스크를 안고 있는 기업들의 경우 수백원의 추가 지출은 향후 경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정부의 압박이 점점 강해지는 상황에서 기업들도 고민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