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한진 기자]재계의 경영 시계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북한의 핵도발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발언 등이 맞물리면서 시장 혼란과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재계에서는 정부의 ‘리스크 관리’ 정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일 재계에 따르면 주요 기업들은 북핵과 한‧미 FTA 이슈가 불거지면서 내년도 경영 계획 등 장기 전략 수립에 애를 먹고 있다. 기업들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 사안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일대에서 북한의 제6차 핵실험으로 추정되는 인공지진이 발생한 3일 서울 용산전자상가에서 시민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북핵과 한‧미 FTA 리스크는 장기 악재로 부상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재계와 전문가들은 이 문제들이 한동안 우리 경제의 어깨를 짓누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업들은 모니터링을 강화하며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A그룹 관계자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미국의 FAT 개정 요구 등의 기업 입장에서 큰 부담이 될 수 있는 이슈들”이라면서도 “시장 상황과 주요 거래선들의 동향 점검을 강화하는 것 이외에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이 없지 않냐”고 했다.
우선 기업들은 북핵으로 인한 소비심리위축을 주목하고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지속과 미국의 전략자산전개 등 한반도에 위기가 증폭되면 소비자들이 생필품을 제외한 소비재에 대한 지출을 줄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조금씩 회복되고 있는 소비심리에 완전히 찬 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반도에 전운이 고조될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이 가속화 될 수도 있다. 우선 증권업계 등에서는 북한의 이번 핵실험으로 인한 증시 조정이 단기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상황이 과거와는 다른 만큼 더욱 신중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트럼프 대통령이 폐기를 언급한 한‧미FTA도 기업에게는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이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은 한‧미FTA 개정 협상에 앞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일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한‧미FTA의 전면 폐기는 미국에도 득이 될 게 없다는 이유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후보시절부터 지속적으로 한‧미FTA가 불합리한 조약이라고 주장해온 만큼 가볍게 넘기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보고서에서 한‧미FTA 전면 재협상이 이뤄질 경우 2017년부터 5년간 수출손실 269억달러(약 30조4000억원), 일자리손실 24만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재계에서는 북핵과 한‧미FTA 모두 정부의 대응 전략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민간 기업들이 손쓸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문제이기 때문이다.
최근 기업들은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가계부채, 고용·소비 부진, 부동산 시장 침체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산적해있다. 재계 1,2위 삼성과 현대자동차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북핵과 한‧미FTA의 부담까지 더해질 경우 기업들이 정말 숨 쉬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기업들이 할 수 있는 노력에는 한계가 있다”라며 “앞으로 정책과 외교적 노력 등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위기 확대를 얼마나 최소화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 것 같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