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정광성 기자]6.13 지방선거가 6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시장 선거에 열기가 뜨거워 지고 있다.
특히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야권 연대설이다. 김문수 후보와 안철수 후보간 단일화 여부인데, 당장은 이같은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자유한국당이 지난 10일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서울시장 후보로 추대하면서 여당 후보와 안철수 바른미래당 후보의 3파전 구도가 확정됐다.
하지만 정치권에선 이같은 3자 구도로는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의 승산이 없다는 게 중론이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가 지난 5일부터 6일 조사한 서울시장 가상대결 결과에 따르면, 민주당 예비 후보 3명 가운데 누가 나오더라도 김 전 지사와 안 위원장 모두를 큰 득표차로 이긴다.
민주당 3명 후보와 번갈아 대결을 붙였을 때, 김 전 지사는 15.8~16.6%의 지지를 얻었고 안 위원장은 20~20.4%의 지지를 기록했다.
민주당은 세 후보 모두 40% 이상의 지지율을 보였다. 김 전 지사와 안 위원장이 단일화를 한다고 가정하더라도 민주당 후보를 누르지 못하는 결과인 셈이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를 참고하면 된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모두 아직까진 야권 단일화에 대해 부정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양 당 서우리자 후보 지지율이 민주당에 현저하게 뒤처지는 상황에서 막판 후보 단일화도 가능하다는 것이 두 당의 속내다.
김 전 지사는 10일 당사에서 열린 추대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역시 바른미래당 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인재영입위원장과의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 "자유한국당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자유민주주의를 확고히 지키는 유일 정당"이라고 우회적으로 선을 그었다.
이른바 '서울시장 안철수, 경기지사 남경필'이라는 구도가 그간 두 당 간 연대의 기본 전제로 간주돼온 만큼, 이미 독자적으로 서울시장 후보를 낸 자유한국당 입장에선 스스로 추대한 후보를 포기하면서까지 야권 연대를 추진하기엔 부담이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아울러 바른미래당 입장에서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무효'를 주장했던 김 전 지사와 단일화 모습이 연출되는 것은 큰 부담이다. 바른미래당 전신인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각각 탄핵을 주도한 세력과 탄핵에 동참하며 구 보수진영을 떠난 세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두 당의 '막판 연대'를 점치는 시각은 남아있다. 지방선거를 불과 60여일만을 남겨둔 상황에서 여당의 압도적인 지지율 우세가 꺾이지 않는 가운데, 야권이 '역전승'을 할 수 있는 승부수로써 야권 연대가 유효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의 경우 앞서 야권 연대에 대해 "당내 반발이나 우리 국민들의 오해나 이런 부분만 극복하면 부분적으로는 가능한 것 아닌가"라고 발언, 전제를 달긴 했지만 가능성 자체는 열어두기도 했었다.
아울러 자유한국당은 당 지도부의 공식적인 부인 입장에도 불구하고 내부에서 새누리당 시절 원내대표를 지냈던 정진석 의원이 공개적으로 야권 연대 필요성을 제기하는 등 야권 연대 필요성에 공감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자유한국당 한 고위 관계자는 바른미래당과의 연대에 대해 "아직 단일화를 얘기 하기는 이르다. 하지만 막판에 가선 연대 가능성도 있다"면서 "보수대 진보 구도로 가야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단일화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서울시장 선거를 하는데 30억 정도 되는데 현실적으로 이 부분도 생각해야 한다. 만약 안철수 전 대표로 단일화가 이뤄질 경우 국회의원 의석수로 딜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바른미래당 관계자는 "당내에선 두 가지 의견이 있다. 기존 바른정당 소속됐던 의원들은 단일화에 대해 긍정적이지만 국민의당 호남계 출신들은 이에 대해 강력 반대하고 있다"며 "좀 더 두고 봐야 할 일이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선거 막판에 가선 단일화를 할 가능성은 충분하다"며 "안철수 후보의 승리를 위해선 단일화라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6.13 지방선거가 6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서울시장 선거에 열기가 뜨거워 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청 모습이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정광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