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구인회·구자경·구본무·구광모 까지…LG가 잡음 없는 '승계' 비결은?

2018-05-20 13:00 | 조우현 기자 | sweetwork@mediapen.com
[미디어펜=조우현 기자]구본무 LG그룹 회장이 숙환으로 별세했다. 최근 구본무 회장의 와병설이 보도되면서, 구광모 상무가 등기이사로 내정된 가운데 LG가의 잡음 없는 ‘승계 작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LG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은 1년간의 투병 끝에 세상을 떠났다. 이에 LG그룹은 후계구도 준비 작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현재 ㈜LG 이사회는 구 회장의 아들인 구광모 LG전자 ID 사업부장을 ㈜LG그룹 등기이사로 내정한 상태다.

1995년 2월 22일 LG 회장 이취임식에서 구본무 신임 회장이 LG 깃발을 흔들고 있다. /사진=LG 제공



당초 일각에서는 구 회장의 동생인 구본준 부회장을 거쳐 구 상무로 경영 승계가 이뤄질 것이라는 예측이 제기됐었다. 1978년생인 구 상무가 경영 수업을 받을 동안 구 부회장이 LG그룹 사업을 총괄할 것이란 전망이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구 회장의 첫째 아들인 구 상무의 경영 승계 체제가 큰 탈 없이 완성될 것으로 보인다. 구 부회장 역시 조카인 구 상무의 승계에 대한 이견이 없었다고 한다.

이 같은 후문이 전해지면서 유독 잡음이 없는 LG그룹의 승계 작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형제들끼리, 혹은 아버지와 자식 간에 다툼이 발생할 법도 한데 유독 LG가는 구인회 창업주를 시작으로 구자경·구본무 회장, 그리고 구광모 상무에 이르기까지 별 잡음 없이 승계 작업이 이루어졌다는 것.

안정적인 경영권 승계의 시작은 구인회 LG 창업주가 타계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구인회 창업주는 1969년 12월 31일 69세로 생을 마친다. 

당시 재계에서는 구 창업주의 형제, 조카, 자식들, 그 외 조력자들이 경영권을 놓고 치열한 다툼을 벌일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됐었다. 하지만 구인회의 첫째 동생인 구철회는 “나는 이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날 생각”이라며 “앞으로 닥쳐올 일들을 헤쳐 나가라”고 당부한다.

(왼쪽)구인회 LG그룹 창업주와 (오른쪽)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사진=LG그룹 제공


이로써 구인회 창업주의 첫째 아들인 구자경 회장이 창업세대들을 대신해 럭키금성의 2대 회장이 됐다. 이때부터 ‘장자 승계 원칙’이 적용됐던 것이다. 이후 구자경 회장은 260억 원이던 매출을 30조원 규모로 성장시키며 그룹을 키워 나간다.

구자경 회장은 아버지의 갑작스런 타계로 경영 수업을 제대로 받지 못했던 점을 늘 염두에 두고 있었다. 

때문에 그는 “70세가 되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날 것”이라는 말을 자주 하며 구본무 회장이 훗날을 도모할 수 있도록 도와줬다고 한다. 실제로 70세가 되던 1995년 2월, 구자경 회장은 은퇴 선언을 했고 아들 구본무에게 회장 자리를 물려줬다. 

구본무 회장은 1975년 그룹에 입사해 심사 과장, 수출관리부장, 유지총괄부장 등을 거쳐 1981년 금성사 이사로 승진했다. 이후에도 금성사 일본 주재 상무, 럭키금성 전무, 부사장 등 현장을 혹독하게 경험한 뒤 1995년 회장 자리에 오르게 된다. 

이 같은 혹독한 경영수업은 LG그룹의 ‘안정적인 승계 작업’의 비결이 됐다. ‘장자 승계 원칙’에 따라 장자에게 경영권을 물려주는 전통을 지켜온 점도 크지만, 이보다 더 중한 것이 ‘후계자 수업’이다.

구광모 LG 상무./사진=LG그룹 제공



40대의 젊은 나이로 후계자의 자리에 오르게 된 구광모 상무 역시 일찌감치 경영 수업을 받아왔다. 그는 구 회장의 동생인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2004년 양자로 입적됐다.

이후 구 상무는 미국 로체스터 공대를 졸업하고 2006년 LG전자 재경부문 대리로 입사, LG전자 미국 뉴저지법인과 HA 사업본부 등에서 근무했다. 2015년에는 LG 상무로 승진했고, 올해부터는 B2B사업본부의 ID 사업부장으로 글로벌 사업을 이끌고 있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