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조선시대 일본을 오가던 조선통신사선이 200여년 만에 다시 재현돼 첫 항해에 나섰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6일 오후 지난 2015년 설계에 착수, 3년 만에 완성한 조선통신사선 재현선을 공개하고 배를 물에 띄우는 진수식을 열었다.
조선 정부가 일본에 보낸 공식 외교 사절인 조선통신사는 한양을 출발해 부산에서 배를 타고 바닷길로 일본 오사카까지 이동한 뒤 육로로 교토 혹은 도쿄까지 갔다.
첫 통신사는 세종 11년(1429) 교토에 파견된 박서생 사절단이며, 성종 10년(1479)까지 여러 차례 통신사가 일본으로 향했다.
조선통신사를 통한 한일 교류가 본격화한 시기는 임진왜란 이후로, 선조 40년(1607)부터 순조 11년(1811)까지 12차례 통신사가 꾸려졌다.
조선통신사 규모는 관리와 역관을 포함해 대략 400∼500명이었으며, 선단은 6척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연구소가 재현한 선박은 사신의 우두머리인 정사(正使)가 탑승한 '정사기선'으로 길이 34m, 너비 9.3m, 높이 3m, 돛대 높이 22m, 총톤수 149t이며, 정원은 72명이다.
연구소는 다양한 문헌과 그림을 연구해 조선통신사선을 제작했다.
선박 운항 실태를 기록한 '계미수사록', 조선통신사선에 사용한 척도를 수록한 '증정교린지', 선박 전개도와 평면도가 있는 '한성유고' 같은 18∼19세기 자료를 참고했다.
그림 중에는 '조선통신사선견비전주선행렬도', '조선통신사선도', '근강명소도회 조선빙사' 등 일본 회화를 분석했으며, 수중에서 발견된 유일한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 4호선' 구조도 확인했다.
연구소 관계자는 "재현선은 선상박물관과 체험장으로 운영하고, 조선통신사 축제에도 참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