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기획-달러의 역사5] 달러의 '그림자' ...신흥국 '외환위기'

2018-11-15 13:44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달러의 지배' 체제에서의 '그림자'는 신흥국들의 '외환위기' 가능성이다.

신흥국들은 미 달러화 가치가 상승하면 위기 가능성이 높아진다.

'외환보유고' 등 준비자산이 충분하지 못하면 '바로 위기'로 이어진다. 안심할 수 있는 나라는 없다. 위기 현실화 시 외환보유고 '20% 이상 소진'을 각오해야 한다.

신흥국 통화가치는 달러와 '반대'다. 달러화 지수와 신흥통화지수 간 '상관계수'는 지난 2010년 이후 -0.7 이상이다. 달러 가치 상승시 자국 통화 약세로 '외국인 자금 이탈'을 우려해야 할 처지다.

과거 신흥국의 위기는 2가지 때문이었다. '펀더멘털 악화'와 '고정환율제'다.

1990년대의 '데킬라 위기'는 멕시코와 아르헨티나에서 발생했다. 비틀거리던 두 나라 경제를 멕시코의 '전통 독주'에 취한 것으로 비유한 말이다.

양국은 1980년대 후반 각각 '페그제'와 고정환율제를 도입했다. 1900년대 초의 '금본위제'에 대한 '향수' 탓이다. 환율 안정으로 대외 신용을 유지하고 경제 규모를 키웠다.

그런데 달러 가치가 대폭 오르면서 '사단'이 났다.

달러화 지수는 1993년 5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9.6% 상승했다.1993년 8월 30일, 동 1년 상승률은 17.1%로 치솟았다. 멕시코는 달러 페그에 따라 통화가치 유지를 위해 달러를 대량 매도했고, 외환보유고가 감소하자 투자자들은 자산 매각의 속도를 더 높였다.

 멕시코 정부는 1994년 12월 결국 페소화를 13~15% '평가절하'했지만, 위기는 진정되지 않았다. 준비자산은 1994년 2월 29억 5000만 달러에서 이듬해 초에는 3억 5000만 달러로 '격감'했다. 소비자물가는 1995년과 1996년 각각 35.0%, 34.4%에 달했다.

다음은 아르헨 차례였다.

화폐 발행을 달러에 '연동'한 탓에 외국인 자금 유출로 '통화량이 급감'했고, '경기 침체'로 이어졌다. 이때부터 이 나라는 신흥국 중 '가장 위험'한 나라가 됐다. 결국 2001년 '디폴트'로 페그제를 포기해야 했다.

신흥 아시아도 '예외'가 아니었다.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들은 경제발전을 '외채'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큰 실수'를 저질렀다. 환율정책을 달러에 연계한 반면, 외국자본이 대거 들어오면서 '환율 안정화'에 어려움을 겪은 것.

위기는 '밖'으로부터 시작됐다. 달러화 지수와 일본 장기금리가 오르면서, 자본 흐름이 '역행'하기 시작했다. 자국 통화가치가 달러화 대비 '고평가'된 탓이다.

가장 먼저 '투기세력의 먹잇감'이 된 것은 태국 바트화였다. '공매도' 세례였다.

태국 정부는 외환시장에 개입하다가 외환보유고를 빠르게 '소진'했다. 페그제를 결국 '포기'하고 변동환율제로 전환하면서 바트화 '평가절하'와 '인플레이션'을 겪었다.

위기는 페그제 국가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대만을 옮겨다니며 각국 경제를 '초토화'시켰다. 한국도 1997년 11월 원화 환율변동폭을 하루 4.5%에서 20%로 확대하면서, '복수통화바스킷' 제도를 포기하고 '자유변동환율제'를 수용, 원화를 대폭 '평가절하'했다. 바로 'IMF 외환위기'였다.

한국등 아시아 신흥국들에게 위기의 '상처'는 컸다. 미국 등 서구가 주도하는 국제통화기금(IMF) 체제가 '강요'한 조치들로, 기존의 '전통적 가치관'과 '고도성장모델'을 상당 부분 '상실'해야 했다.

미국과 유럽 등의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글로벌 '유동성 감소'는 신흥국들에 '또 다른 위기 가능성'으로 다가온다. 문제는 위기가 '전체 신흥국'으로 확산되느냐의 여부다.

달러화 지수는 올해 2월 이후 10월 말까지 9.5% 상승했고, 그 사이 아르헨은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기로 했고 터키의 통화가치는 '급락'했다.

'취약신흥국' 아르헨, 터키,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및 인도네시아는 통화 '절하폭'이 신흥통화지수 하락 폭보다 크다. 아르헨과 터키는 올해 들어 준비자산을 각각 11.7%, 5.5% 써버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신흥국 위기가 전면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한다. 과거 외환위기가 남긴 '교훈' 덕분이다.

우선 신흥국 대외부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보다 훨씬 낮아졌다.

특히 외국인 투자 중 '양질'인 '직접투자'와 '주식 포트폴리오'가 늘었다.

반면 '악질'인 기타투자와 채권 포트폴리오를 합친 '차입금'이 줄었다. 차입은 일반적으로 '단기'여서 과거 위기 시 자본 유출을 주도했다. 취약신흥국들 조차 외국인 투자에서 차입의 비중이 2001년 52.8%에서 지난해 31.8%로 하락했다.

신흥국 환율 체계도 긍정적으로 변했다.

과거 위기의 근본 원인은 달러 페그에 따른 '환율 고평가'였다. 이는 '빈틈'을 노리는 투기세력들에겐 손쉬운 '요릿감'이다. 신흥국도 이런 '단점'을 알았겠지만, 환율 안정이 '더 달콤'했었다.

1997년 IMF는 외환위기 국가에 자금을 지원하면서 '변동환율제' 도입을 요구했다. '고압적'인 IMF 때문에 신흥국의 변동환율제 도입 비중은 1990년 15.6%에서 2006년 27.5%로 상승했는데, 한국도 마찬가지였다.

덕분에 신흥국들은 투기세력들로부터 '자유'로워졌다. 페그제를 '사수'한 홍콩이 2015년 '공매도 압력'을 받았던 것과 '대조적'이다. 과거 같은 환율 고평가도 없다.

금융시장 개방 정도도 다르다. 한국 등 아시아 신흥국들은 외환위기 이후 여러 '안전 장치'들을 도입하고, 자본계정 완화도 '순차적'으로 진행했다. 그 동안의 무역 흑자로 준비자산도 착실하게 '저축'해 뒀다.

달러화 가치가 과거처럼 상승할 가능성이 낮은 것도 '호재'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달러화 지수는 올 들어 미국 시중금리 급등과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평균을 상회', 달러 '추가 강세 여력'은 크지 않다"면서 "그렇다면 아르헨과 터키 위기가 다른 신흥국으로 '확산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전망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