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취재단·미디어펜=김소정 기자]“주로 통신장비를 새로 까는 작업을 하겠지만, 화상상봉장이 건물 2층이나 지하1층이던 곳은 1층으로 옮겨 전면 공사를 하는 곳도 4곳에 달합니다.”
정부가 3일 남북이산가족 화상상봉을 위한 전국 13곳 시설의 개보수에 착수했다. 약 11년 만에 화상상봉이 재개될 예정인 만큼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시설 교체에 약 한달이 걸릴 예정이다.
국내 화상상봉장은 서울 중구 소재 대한적십자사(한적) 서울사무소 별관 1층에 위치한 화상상봉장인 ‘묘향 산마루실’과 '칠보 산마루실'를 비롯해 본사에 총 5곳이 있으며, 각 지사 내 8곳을 합해 전국에 총 13곳이 있다. 각 상봉장은 한가족 당 최대 5명이 들어갈 수 있는 5평이 조금 넘는 공간으로 조성됐다.
이날 오전10시부터 묘향 산마루실에서는 KT 직원들이 기존에 설치돼 있던 TV 모니터와 영상송수신 장비 등을 철거하고, 바닥 통신선로 등을 교체하기 위해 테이블 등 가구들을 옮겨내는 작업을 했다.
이번 화상상봉장 개보수 공사로 모니터, 카메라 등 영상장비뿐 아니라 2005년 방식의 통신선로와 네트워크 장비 등을 모두 교체하게 된다. 상봉장이 2층에 있는 광주, 대구, 제주, 춘천지사는 고령의 이산가족들을 위해 1층으로 상봉장을 옮겨 전면 공사도 진행한다.
정재은 대한적십자사 남북교류팀장은 “화상상봉은 당초 90대 이상만을 대상으로 한 고령 이산가족들을 위한 대안적 방법이었지만 워낙 고령화가 심해서 지금은 대면, 화상의 의미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연세가 많으신 분들은 현실적으로 금강산까지 가서 (상봉)하는 것이 힘들다”며 “그런 부분 때문에 도입된 화상상봉이 앞으로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화상상봉센터는 2005년 제15차 남북장관급회담 합의에 따라 이산가족들의 상봉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조성됐다. 2007년까지 7차례 화상상봉으로 557가족 3748명이 영상으로나마 재회했다.
이번 화상상봉장 개보수 공사는 지난해 9월 문재인 대통령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한 것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서 화상상봉 관련 장비 반출을 위한 대북제재 적용 면제를 받았다. 또 약 31억원의 예산도 마련했다.
그러나 지난달 28일 2차 북미정상회담이 합의없이 결렬된 이후 북측이 우리측의 협의 요구에 응하지 않고 있어 화상상봉이 언제 이뤄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유관기관과 협의가 끝나는 대로 북측과의 실무협의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현재까지 북측에 구체적인 제의를 한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2018년 8월25일 21차 이산가족상봉행사 2회차 둘째날에 북한 금강산이산가족면회소에서 70년만에 만난 남북 이산가족이 손을 맞잡고 있다./뉴스통신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