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정부의 북한에 대한 인도적 식량지원이 추진되고 있지만 북한의 호응이 없는 것과 관련해 정부 고위당국자는 지금의 상황에 대해 북한이 자신들의 협상안을 정리하는 국면으로 본다고 밝혔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2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정부가 직접 북측에 식량지원을 타진한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런 논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아직까지는 마련되지 않고 있다”면서 “북한이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과도 (분석하고) 있을 것이고, 내부적으로 조직정비도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런 것들이 언제 마무리가 돼서 다시 국면이 전환될 것인가에 정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이 고위당국자는 이어 “북한과 마찬가지로 미국도 자신들의 협상안을 정리하는 국면이 아니겠냐”며 “북미 모두 협상 재개를 위해 실무 차원에서 여러 방안들을 검토하고 있는 것이고, 6월에 한미정상회담도 예정돼 있으니 이를 계기로 남북미 삼각대화가 조금 진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측에서 고위급회담 등 대화를 제안할 생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협상은 다 때가 있다. 서두를 때가 있고 기다릴 때가 있다”며 “지금은 인내심을 갖고 내부적으로 상황 관리를 하면서 준비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당연히 다시 당국간 대화의 속도를 낼 수 있는 때가 올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고, 그런 시점이 되면 다양한 형태의 대화를 제안하고 의제도 얘기할 것”이라면서 “지금은 그런 때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씀드릴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 고위당국자는 앞으로 있을 남북대화의 형식과 절차에 대해서는 문재인정부 들어 남북대화의 환경과 방식이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됐고, 이제 형식보다 실리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2018년 처음 남북정상회담을 할 때에는 대북특사를 보내서 조율했지만 두 번째 남북정상회담의 경우 곧바로 판문점에서 만났다”며 “2차 정상회담처럼 한다면 굳이 특사나 고위급회담이 필요없다. 꼭 처음에 했던 방식대로 생각할 필요는 없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위당국자는 “더 중요한 것은 이번 정상회담의 목적이 북미정상회담 재개를 위한 남북정상회담을 통한 조율이라고 본다면 형식적인 측면보다는 실질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통일부는 물 위를 담당하고 있다. 물 밑에 대해서는 저희가 언급하지 않는다”며 “그런데 물 위와 물 밑은 따로 가지 않는다. 약간의 시차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전혀 다른 방식으로 움직이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
서울 종로구 청와대 앞 사랑채 부근에 2018년 12월7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악수하는 모습을 그린 작품이 설치돼 눈길을 끌고 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