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가 서울 양재에서 산업부, 복지부, 로봇기업, 돌봄로봇 수요자, 로봇지원기관 관계자 등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했다.
17일 산업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2026년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간호‧간병 전문인력 및 요양병원 등이 수치상으로는 증가했지만, 높은 업무 강도로 인한 구인난을 겪고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 및 중증 장애인들도 최소한의 신체활동과 일상생활 자립에 어려움을 겪고, 이로 인해 가정에서 간호‧간병인들의 부담도 증가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돌봄로봇과 관련해 추진 중인 사업에 대한 계획을 설명하고, 수요자들이 제품을 관람·체험할 수 있는 전시부스(6개)도 마련했다.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해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에 반영하기 위해 '돌봄로봇 네트워크 실무그룹' 회의도 열렸다. 워킹그룹은 연말에 추진실적 및 경과보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돌봄로봇 도입이 시급한 상황에서 로봇기업의 시장 판로 개척에 어려움이 있고, 수요처에서는 로봇에 대한 이해 부족과 초기 투자비용 부담으로 로봇 도입에 애로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포럼을 통해 지난 3월 발표한 '로봇산업 발전방안'에 따른 돌봄로봇 기술개발과 돌봄로봇 5000대 보급 및 제도개선을 착실히 수행해 돌봄로봇이 현장에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고, 렌탈·리스 등 금융서비스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복지부는 기존에 개발된 기기로 해결할 수 없었던 돌봄 관련 문제를 기술개발·중개연구·현장실증·제도개선 등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돌봄로봇 서비스모델 개발 계획(2019~2022년)'을 소개했다.
이들 부처는 "돌봄로봇 사용자의 의견을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에 반영할 수 있도록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 소그룹 모임'을 운영해 양부처·연구자·수요자가 지속적인 소통을 하고, 로봇 보급사업을 통해 수요처의 돌봄로봇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비용 효용성도 검증하고, 산업부-복지부간 협력 분야를 수술로봇·재활로봇·웨어러블 로봇까지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국장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로봇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간호·간병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 많은 분들에게 큰 희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임인택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돌봄 당사자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번 포럼을 계기로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사업이 활성화돼 국민의 돌봄부담 감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들 부처는 협력사업의 공동 연구발표회 및 성과교류회를 개최하고, 사업 현안과 성과를 지속적으로 소통·협력할 방침이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