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유천리 요지 1호 가마 초벌청자 칸과 배연부
[사진=전북문화재연구원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초벌구이 청자를 위한 전용 칸을 별도로 마련한 고려청자 가마 구조가 전북 부안에서 최초로 확인됐다.
초벌청자 전용 칸은 도자기를 굽는 소성실(燒成室) 안에서 불과 거리가 가장 멀어 온도가 낮은 곳에 설치했으며, 끝에는 별도의 폐기시설로 짐작되는 퇴적구를 둔 것으로 조사됐다.
부안군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전북문화재연구원은 고려왕실과 귀족층이 사용한 최상급 도자기를 생산한 부안 유천리 요지(사적 제69호)에서 발굴조사를 진행, 12세기 후반부터 13세기 초반 사이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청자 가마 2기를 새롭게 찾아냈다고 17일 밝혔다.
이 가마터는 진흙과 석재를 이용해 만든 가마 2기는 망여봉에서 내려오는 구릉에 있으며, 경사를 따라 5m 간격으로 조성했다.
그중 1호 가마는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나, 2호 가마는 훼손됐으며, 가마 바닥에는 도자기를 구울 때 놓는 받침인 도지미와 도자기를 담는 그릇인 갑발이 불규칙하게 놓여 있다.
1호 가마 앞쪽에는 작업장에 해당하는 길이 4.3m 타원형 요전부(窯前部)가 있고, 요전부 너머로 불을 때는 길이 1.6m 연소실(燃燒室), 길이 19m 소성실, 연기가 빠져나가는 곳인 배연부(排煙部)를 차례로 조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연부는 돌로 축조했으며, 배연부 오른쪽에는 품질이 낮은 자기를 폐기하는 퇴적구를 따로 마련했고, 퇴적구에서는 1호 가마에서 구운 것으로 판단되는 초벌구이 청자가 많이 출토됐다.
곽스도 전북문화재연구원 책임조사원은 "배연부는 정확한 형태를 알 수 없지만, 연기가 나가는 길인 연도로 이용된 석재가 명확하게 남았다"고 설명했다.
곽 조사원은 "초벌 칸에서는 초벌구이 청자가 다량으로 노출됐으며, 길이는 2m 정도로 보인다"며 "고려시대 청자 가마 중 초벌 전용 칸을 운용한 사례로는 전남 강진 사당리 43호 가마가 있으나, 이번 가마처럼 완벽하게 보존되지 않았고, 퇴적구에서 초벌 청자가 많이 출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요전부부터 연소실, 소성실, 배연부, 퇴적구까지 갖춘 완전한 구조의 가마가 확인됐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가마 구조 발전단계를 알려주는 1호 가마와 조선 초기인 15세기 분청사기 가마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