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구조조정 대상이 되는 부실징후기업이 올해 210곳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기업 3307개사의 신용위험을 평가한 결과 210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부실징후기업은 C등급 59개사와 D등급 151개사로 구성되며, 이들은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다.
부실징후기업 수는 작년보다 20개사 증가했다. 이는 전반적인 업황이 좋지 않았던 것에 더해 세부평가 대상기업 숫자가 355곳 늘어난 점이 영향을 줬다.
일단 부실징후를 보이는 대기업은 9개사로 지난해보다 1개사 감소했다. 부실 중소기업은 201개사로 지난해보다 21개사 증가했다. 2017년 174개사, 2018년 180개사를 기록하는 등 증가 패턴이 이어지고 있다.
중소기업의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부실징후기업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84.6%, 2017년 87.4%, 2018년 94.7%, 2019년 95.7% 등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 분야 기업이 35개사로 최다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부동산 19개사, 자동차부품 17개사, 금속가공 17개사, 도매·상품중개 14개사 등의 순서가 이어졌다.
작년 대비 증가 규모로 봐도 기계장비 분야(+15개사), 부동산(+5개사), 자동차부품(+3개사), 건설(+3개사) 등 분야의 부실화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은 3조 3000억원인데 이중 은행권이 2조 4000억원으로 무려 72.7% 비중을 보였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의 자산 건전성을 재분류할 경우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1735억원 수준이었다.
금융당국은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된 기업을 워크아웃이나 회생절차 등 구조조정 프로그램으로 유도하게 된다. 일시적 경영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경영 정상화를 적극 지원한다.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 지원에 나서거나 경영 애로 상담 및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