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점점 절실해지는 스마트농업, 바람직한 육성방향은?

2020-01-08 11:07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스마트팜 경영실습 농장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농촌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스마트농업이 최우선 농정과제로 점점 절실해지고 있다.

지난 2015년 기준 농업취업자 중 60세 이상이 65%이고, 70대 이상은 34%에 이를 것으로 추정돼, 은퇴와 영농포기에 따른 인력 부족으로 휴.폐경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화 초기인 1970년경 이전에 농업에 취업, 우리 농업의 중심을 이뤘던 70세 이상 세대가 대량 은퇴하면,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위기가 올 수 있다.

우리보다 고령화가 더 빨랐던 일본은 지방 회생과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업혁신이 불가피하다고 판단, '일본재흥전략 2016'의 중점 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농업을 농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아, 국가발전 전략사업을 추진 중이다.

스마트농업은 농업인의 힘이나 경험, 숙련도보다 기계 장비와 데이터에 의존, 인력 공백의 대안이 될 수 있고, 스마트농업 기술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새로운 인재의 일터가 될 수도 있다.

이들이 기존 농업인과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도리어 농업생산성이 향상되고 친환경적 농업으로의 혁신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은 기업들이 스마트농업을 새로운 기회로 인식, 적극 참여하고 있어, 한국도 기술개발 잠재력이 있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 현장에서도 이미 상품화에 이른 일본 선발기업의 기술과 상품을 도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마트농업기술이 실용화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이다.

스마트농업을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과 고정투자가 필요, 영세한 개별 농가가 수익성을 구현하기가 어렵기 때문.

농업전문 민간연구기관 GS&J 인스티튜트의 이정환 이사장은 "인터넷 기반의 플랫폼으로 스마트농업 기계 장비의 소유자와 운전자 및 이용자를 연결, 일종의 농작업 위탁 방식과 스마트농업기술 전문업체의 서비스를 플랫폼을 통해 농가가 이용하는 방식이 검토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이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스마트농업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경영체에 스마트농업기술을 컨설팅하고 관리를 대행하는 벤더사업을 하려는 스타트업이 활발히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