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한국 대졸자 전공-직업 미스매치 50%...KDI "대학 정원규제 완화해야"

2020-06-09 15:45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여성구직자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대졸자의 50%는 전공과 무관한 직업을 가진 것으로 조사돼, 미스매치(부조화)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대학 정원 규제 완화, 진로 교육 강화, 전공 선택 시기의 유연화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9일 '전공 선택의 관점에서 본 대졸 노동시장 미스매치와 개선방향' 보고서를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공-직업 미스매치는 50%에 달해 영국, 이탈리아 등과 함께 미스매치가 가장 높은 집단에 속했다. 

OECD 조사 참여 국가 전체의 평균은 39.1%였다.

보고서는 이런 미스매치가 ▲ 각종 정원 규제로 인한 학과 간 정원조정의 경직성 ▲ 학과별 취업 정보의 부족 ▲ 전공 선택 시기의 획일성에서 비롯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각종 정원규제가 입시-취업과 맞물리며, 많은 학생들이 희망하지 않는 전공을 선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선 수도권 소재 대학은 총량적 정원 규제를 적용받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각 대학 내 전공 간 정원 조정이 쉽지 않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보고서는 전국 4년제 사립대학에서 전년도의 전공별 경쟁률에 따라 전공별 입학정원 조정이 있었는지 분석한 결과, 비수도권 사립대학에서는 어느 정도 조정이 있는 반면, 수도권 사립대학에서는 전공별 입학 정원 조정이 아예 없는 수준이었다고 소개했다.

한요셉 KDI 연구위원은 "수도권 소재 대학을 선호하는 현실에서, 상위권에 속한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전공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또 보건·교육 등 특수 전공의 정원을 대학이 임의로 조정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전공자의 소득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결과로 이어져, 자연·공학 계열 학생들이 높은 소득 때문에 의대를 선택하거나,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이 안정성 때문에 교대를 선택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전공별 생애주기적 소득과 취업률의 차이를 추정한 결과 의약 및 교육 계열 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해당 전공계열 졸업자의 취업률 역시 두드러지게 높았다. 

일정한 시기에 나중에 바꾸기 어려운 결정을 강제하는 '전공 선택 시기의 획일성'도 원하지 않는 전공을 선택하는 이유로 지적됐다.

KDI가 전국 4년제 대학 신입생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자신의 전공을 바꾸고 싶다고 응답한 비중은 28.2%에 달했으며, 인문 계열은 주로 교육 계열로, 자연 계열은 의약 계열로 변경을 희망해 '특수 전공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일반고 내 문·이과 선택 이유 중 '대학 진학에 유리해서', '주위의 일반적인 선택을 따랐다'고 응답한 비중이 전체의 20%를 넘었으며, 선택을 후회하는 비중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높은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으로, 정원규제 자체를 재검토할 것을 제언했다.

신산업 관련 전공 분야 정원은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허용하는 한편, 인구고령화로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의료 분야는 증원을, 학령인구 감소로 교원 수요가 축소되는 교육 분야는 감원을 각각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것.
  
그러면서 진로전담교사가 진학 상담 시 대학·학과별로 현재 공표하는 취업률 외에 소득정보와 같은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전공 선택 시기를 다양화하고 전공 변경의 자유를 확대하기 위해, 대학 입학 모집단위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