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전 세계에 단 3점 뿐...희귀한 고려 '나전합', 일본서 돌아왔다

2020-07-02 10:41 | 윤광원 취재본부장 | gwyoun1713@naver.com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온전한 형태로는 전 세계에 단 3점밖에 없을 정도로 희귀한 고려시대 '나전합'이 한국으로 돌아왔다.

문화재청은 고려 대표 나전칠기 유물인 '나전국화넝쿨무늬합'을 작년 12월 일본에서 들여왔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일본에서 환수한 나전합은 길이 10㎝ 정도에 무게가 50g으로 작고 가볍지만, 고려 나전칠기의 화려한 아름다움을 잘 보여준다. 

아주 작게 오린 나전을 뚜껑과 몸체에 빼곡하게 배치해 국화와 넝쿨무늬를 유려하게 표현했는데, 뚜껑 중앙에 있는 큰 꽃무늬와 국화 꽃술에는 고려 나전칠기를 대표하는 특징인 대모복채법(玳瑁伏彩法)이 사용됐다. 

대모복채법은 바다거북의 등껍질인 대모를 얇게 갈아 투명하게 만든 판 안쪽에 안료를 칠해 비쳐 보이게 하는 기법이며, 연주문은 점이나 작은 원을 구슬을 꿰듯 연결해 제작한 문양이다.

또 뚜껑 테두리는 연주문(連珠文)으로 촘촘히 장식됐다.

금속 선으로 넝쿨 줄기를 표현하고 두 줄을 꼬아 외곽선을 장식하는 등, 다양한 문양이 조화롭고 품격 있게 어우러졌다.

이 나전합은 커다란 원형 합(모자합·母子盒) 속에 들어 있던 5개의 작은 합(자합·子盒) 중 하나로, 가운데 자합을 다른 자합 4개가 둘러싼 모습인데, 환수한 나전합은 바깥 4개 중 1개로 추정된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고려 나전칠기는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의 미의식을 대표하는 최고의 공예품으로 손꼽혀 왔는데, 고려 중기 송나라 사신 서긍은 '고려도경'(高麗圖經)에서 '극히 정교하고(極精巧, 극정교)', '솜씨가 세밀하여 가히 귀하다(細密可貴, 세밀가귀)'라며 고려 나전칠기에 찬사를 보냈다.

현재 고려 나전칠기 작품은 전 세계에 불과 20여 점만 남아 있는데, 대부분 미국과 일본의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우리나라에는 그동안 국립중앙박물관에 온전한 고려 나천칠기가 단 2점 밖에 없었는데, 이번에 나전합 한 점이 일본서 돌아와 총 3점을 소장하게 됐다.

이 나전합은 문화재청 위임을 받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일본에 있는 개인 소장자로부터 지난해 12월 구매한 것으로, 반출 시기는 모르지만, 오래전부터 일본에서 전해져온 것으로 보인다.

문화재청은 "국외문화재재단이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심도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소장자와 협상해 이뤄낸 값진 성과"라며 "고려 나전칠기 원생산국인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자합 형태 나전합을 보유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이번 환수가 더욱더 뜻깊다"고 평가했다.

분석 결과 나전합은 전형적인 고려 나전칠기의 제작기법과 재료가 사용됐다. 

나무로 몸체를 만든 뒤 그 위에 천을 바르고 옻칠을 했고, 판재 안쪽에 일정한 간격으로 칼집을 넣고 곡선형의 몸체를 만들었으며, 바닥 판과 상판을 만든 후 측벽을 붙여 몸체를 제작했다.

이 나전합은 지난 2006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나전칠기-천년을 이어온 빛'에서 최초로 공개된 바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관돼 올해 12월 22일부터 내년 3월 7일까지 개최되는 특별전 '고대의 빛깔, 옻칠'을 통해 다시 공개될 예정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