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서울 서초구 제약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관련 기업 대상 범정부 지원 대책 설명회에서 각 부처 담당자들이 질의응답을 진행하고 있다./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미디어펜=김견희 기자]범정부지원위원회는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지원 정책에 대해 "약물재창출이나 항체·혈장치료제 등 선행사업을 통해 어느정도 임상 단계에 진입한 기업들을 우선하는 방향으로 지원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범정부위원회는 14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한국제약회관에서 열린 '범정부 초청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지원대책 설명회'에서 추가경정예산을 지원 받을 수 있는 기준에 대해 "지금은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상황인 만큼 기술력이나 어느정도 진전이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추경이 이뤄질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범정부지원위원회는 앞서 지난 9일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제4차 회의를 열고 제3차 추가경정예산에서 배정된 1936억원을 집행하기로 했다. 이날 자리는 기업과 정부 간 추경 집행 계획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위원회는 기업들의 임상시험 전주기에 94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 중 치료제에는 450억원, 백신에는 490억원을 투입한다. 치료제 보다 백신에 대한 예산이 40억원 가량 더욱 높게 측정됐다.
이에 대해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한국 기준으로 DNA 백신 개발 2개가 진행 중인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예산을 반영한 것이다"며 "2, 3상은 대규모 임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치료제 보다 백신 임상 단가를 더욱 높게 측정했다"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예산과 실제 집행 단가는 다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에서 과제를 신청하면 심사를 통해 적절한 규모인지 평가하고 그에 따른 지원이 이뤄지기 때문에 실제 집행 금액은 차이가 날 것이다"고 말했다.
또 그는 "약물재창출이나 항체·혈장 치료제 등 선행사업으로 인해 임상단계에 어느정도 진입한 기업들에 관한 예산이다"며 "신규로 진입하는 기업인 경우 과학기술통신부에서 지원이 이뤄질 것이다"고 덧붙였다.
후보물질 발굴과 효능·독성평가 등 임상 전단계(1~3상) 지원, 바이오 의료기술 개발 등에도 175억원이 이 쓰인다.
정 과장은 "다기간 임상을 지원하는 추경도 반영됐다"며 "코로나19 환자가 많이 분포하고 있는 병원은 상급병원이 아니라 주로 의료원 단계라 임상을 실시할 수 있는 공간이나 경험이 적다"고 했다. 이어 "이 때문에 실제 환자가 많이 모이는 의료기관을 지원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한국형 방역 패키지 개발에도 222억원이 쓰인다. 방역장비와 진단기기의 국산화·고도화에도 135억 원이 투입된다. 백신·치료제 관련 인프라 구축에도 391억원이 배정됐다.
인체 데이터 활용 여건 조성과 국제표준화 지원에도 73억원이 사용된다. 확진자 중 완치자의 인체 유래물이나 유전체 등의 자료를 수집해 디지털 자원화로 만드는 것이다.
또 K방역모델 국제표준화와 국가표준 기술력 향상에 30억원, 감염병 의료기술의 근거를 생성하는 연구개발에 8억원, 바이오 분야 특허 연계 연구개발 전략 지원에도 35억원이 투입된다.
한편 지난 10일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임상 승인받은 12건의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이 진행 중이고, 전임상을 포함해 32건에 달하는 개발이 진행 중이다.
범정부지원단은 "산학연병과 정부의 상시적 협의를 통해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 만큼은 끝을 봐야한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주문에 힘입어 지난 4월24일 출범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