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알약 대신 게임 치료"…디지털치료제 시대 열리나

2020-09-25 17:42 | 김견희 기자 | peki@mediapen.com

'바이오플러스 인터펙스 2020' 바이오헬스케어 세션에 참여자. 왼쪽부터 강성지 웰트 대표, 최예진 두브레인 대표,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 파트너스 대표, 김영인 눔코리아 대표, 박지훈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PD./사진=유튜브


[미디어펜=김견희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증 사태 여파로 알약이나 주사제 대신 비대면 방식으로 치료가 가능한 게임, 어플리케이션, 기기 등을 활용한 치료요법에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관련 산업에 적극 대응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25일 열린 '바이오플러스 인터펙스 2020' 디지털헬스케어 세션에서는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해 국내외 디지털 치료제에 관한 소개와 함께 산업 활성화를 위해 풀어나가야할 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디지털헬스케어는 의료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이면서 의료분야에 해당돼 보건 당국의 인허가가 필요한 산업이다.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 만성질환 환자들이 코로나19 여파로 방치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관심 분야로 급부상 중이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디지털치료제를 'SaMD'로 규정하고 있다. 하드웨어로써 의료기기의 일부가 아니라 의료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로 정의를 내렸다. 현재 정신질환 관련 디지털치료제는 인허가 없이 먼저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했다.

해외 대표적 디지털치료제로는 페어테라퓨틱스의 '리셋(Reset)'과  '솜리스트(Somryst)' 그리고 미국 아킬리에서 개발한 '인데버'(Endeavor) 게임 치료 등이 있다. 

리셋은 코카인과 알코올 중독 등을 치료하고 관리해주는 어플이며, 약과 병용요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솜리스트는 불면증 치료 어플이다. 인데버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어린이용 전자 치료제다. 이들 모두 전문의약품과 동일하게 처방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다.

최윤섭 디지털헬스케어 파트너스 대표는 "치료효과가 있는 게임이 아니라 치료제가 게임의 형식으로 만들어졌다고 보는게 맞다"며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 혹은 치료하는 고도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것이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눔코리아, 웰트, 두브레인 등이 꼽힌다. 눔코리아는 한국인이 뉴욕에서 창업한 모바일 헬스케어 회사로 현재 한국에 역수입되는 구조다.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체중감량, 당뇨병 예방 및 관리가 주력 상품이다. 운동과 체중을 기록하면 코치가 사용자를 도와 건강한 생활습관을 지닐 수 있도록 해준다. 

두브레인은 수준별 맞춤형 인지학습 전문 기업이다. 발달장애아동에 맞는 콘텐츠를 진단부터 수준별 학습까지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최예진 두브레인 대표는 "발달장애아동 양육자의 고민에서 제품 개발을 시작했다"며 "사용자가 계속 사용을 유지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게 관건이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사내 벤처 스핀오프로 설립된 웰트는 라이프패턴을 분석해 생활습관을 바꾸는 등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현재 알코올 중독 치료와 불면증 등을 대상으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이 회사는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는 스마트벨트 기기를 개발해 선보이기도 했다. 

강성지 웰트 대표는 "국내 다른 디지털치료제 개발사의 경우 프로그램을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디지털치료제가 된 것인데, 저희는 디지털치료제 시장을 보고 뛰어든 것이다"며 "사용자의 단순 신체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 맞춤 메시지와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약물 대비 지니는 강점 증명해야...의료수가 책정 기준도 관건"

전문가들은 디지털치료제가 영속성을 가지기 위해선 효능의 입증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윤섭 대표는 "앞으로 임상연구 디자인에 대한 고민이 많아질 것이다"며 "기존의 약 대신 보여줄 수 있는 강점과 의사들의 활용 여건이 어떻게 되는지, 또 전자의무기록(EMR)으로 통합이 되는지 등 많은 부분에서 효용 가치를 증명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의료 수가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도 심층적으로 연구돼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최 대표는 "디지털 치료와 헬스케어 전반에서 의료 수가가 제일 큰 이슈다"며 "훌륭한 치료 기술을 인허가 받은 회사가 있다고 했을 때 어떤 기준으로 수가를 매길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안되어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의 경우 건강심사평가원에서 최근 논의를 시작했지만 합리적인 기준을 세우기 위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김영인 눔코리아 대표는 "전반적인 관리 체계에 있어 디지털 치료가 어떻게 융합이 될것이냐, 치료효과에서 단독적 보조적 약제와 함께 처방됐을 때 등 폭넓게 고려돼서 수가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예진 두브레인 대표는 "미국 캐나다 같은 경우 발달장애아이 치료가 프로그램으로 인식돼서 수가 논의 테이블에 올라오지 않는 경우도 많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발달장애아동들이 받는 디지털 치료제 뿐만 아니라 이런 파트가 의료법 안에서 재정이되고 지속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원격의료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디지털 치료제를 포함한 디지털 헬스케어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지난해 1063억 달러에서 연평균 29.5%씩 성장해 2026년에는 639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업계에서는 원격의료 시장 확대와 더불어 디지털치료제의 성장도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