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최근 카카오게임즈‧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 공모주들이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자 금융당국이 각 증권사에 기업공개(IPO) 수수료와 공모주 배정 방식 등에 대한 합리화 방안을 주문한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투자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이라는 옹호론과 ‘관치금융’이라는 비판이 함께 나온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최근 IPO 시장의 상황을 과열로 진단하고 ‘손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주요 증권사 IPO 담당자들과 함께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IPO 수수료를 합리적인 수준으로 책정해 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식시장에 상장을 원하는 기업들은 상장주관 증권사와 함께 IPO를 진행한다. 이때 주관사가 매기는 수수료는 인수수수료, 성과수수료, 청약수수료 등 3가지로 나뉜다. 이 중에서 당국이 주목한 것은 인수수수료 부분이다. 통상 공모가의 1~2% 수준으로 책정되는 인수수수료는 공모물량이 많고 공모가가 높으면 주관사가 많은 수익을 내게 된다.
최근 SK바이오팜‧카카오게임즈‧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 공모주 청약이 주식시장의 뜨거운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상장주관에 나선 증권사들도 많은 수수료 이익을 거두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모가 흥행하면 인센티브로 성과수수료도 지급되기 때문에 수익규모는 최근 들어 더욱 커졌을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측은 증권사들에게 IPO 주관 수수료를 현행 정률제에서 ‘정액제’로 전환할 수 있는지 검토해 달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공모흥행 여부와 관계없이 정해진 금액만 가져가는 방식이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검토 요청’일 뿐 당장 제도가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금융당국 측 관계자는 “제도의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다양한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는 것일 뿐 당장 뭔가가 바뀌는 것은 아니다”라면서 선을 그었다.
올해 들어 신규상장주들의 공모가가 기존 ‘희망 공모가’ 범위의 상단 이상에서 결정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은 사실이다. 공모가가 높아질수록 수수료 수익이 커지는 주관사 입장에서는 공모가를 높게 잡을 유인이 생기고, 이것이 시장에 거품을 형성할 수 있다는 지적 속에 정액제 검토안이 나온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적잖이 당혹스러운 분위기다. 당국이 개인투자자 보호라는 미명 하에 시장에 개입하는 그림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초에만 해도 IPO 불황을 우려했을 정도로 공모주 과열은 최근의 현상”이라면서 “일시적일 수도 있는 IPO 과열에 당국이 너무 민감하게 대응한다는 인상도 갖게 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