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백지현 기자] 은행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인 충당금 적립에 나서고 있지만, 부실 대출 리스크에 따른 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짙어지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기준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492조7274억원으로 집계돼 전월(486조4541억원) 대비 6조2733억원(1.3%) 늘었다.
중소기업의 대출 잔액은 매달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 지난 5월 471조3620억원이던 5대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6월 474조3009억원에서 7월 477조5108억원, 8월 482조1910억원을 늘었다.
중소기업의 대출 증가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정부의 금융지원 조치도 한몫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소상공인 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 실적은 2조3500억원이다. 금융위는 1000만원이던 대출한도를 2000만원으로 상향하고, 중복수급이 가능하도록 개편하면서 일평균 지원금액은 74억원에서 753억원으로 증가했다.
문제는 실물경제 회복이 지연될 경우 한계기업의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내년 3월까지 연장된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될 경우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행이 지난 9월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해 기업 재무건전성 악화가 가속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계기업이 지난해보다 크게 늘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한계기업 비중은 21.4%으로 전년 대비 6.6%포인트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추정이다. 수치로는 5033곳이다. 실제 올해 들어 한계기업의 예상 부도확률도 크게 상승해 올해 6월 중 평균 4.1%로 비한계기업이 1.7%인 데 비해 신용위험이 크게 높아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실물경제 회복이 지연된 경우 한계기업을 중심으로 부실대출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기업 여신에 대한 위험관리를 강화해 나가는 한편 충당금 적립 등 손실 발생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