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바이든 시대 새 기회 맞은 완성차, 노조 리스크가 발목 잡나

2020-11-12 13:38 | 김태우 차장 | ghost0149@mediapen.com
[미디어펜=김태우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미국시장의 변화에도 완성차 업체 노동조합들이 잇달아 강성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자동차 최대 격전지인 미국이 바이든 시대를 맞아 친환경 정책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완성차 업체들에게도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또 한동안 저조했던 세계 자동차 시장이 코로나19 사태에서 벗어나려는 움직임을 조금씩 보이고 있지만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노조 리스크가 심화되면서 기회를 살리지 못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1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르노삼성 노조는 전날 진행된 5대 집행부 노조위원장 선거에서 박종규 현 노조위원장의 연임을 확정했다. 이번 선거에서는 강성 성향을 보여 온 박 위원장과 실리 성향의 김동석 후보가 맞붙었으며, 박 위원장이 56.8%를 득표해 당선됐다.

2년 전부터 현 4대 지도부를 이끌고 있는 박 위원장은 지난해 파업을 주도하고 지난 9월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는 등 강도 높은 투쟁 전략을 펼쳐 왔다. 그는 이번 선거에서도 기본급 쟁취, 노동강도 완화, 배치전환 합의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수출을 위해 평택항에 대기중인 자동차. /사진=미디어펜


르노삼성 노조는 사측과의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에서도 갈등을 겪어왔으며, 지난 9월 6차 실무교섭 이후 교섭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쟁의조정을 신청해 조정 중지 결정을 받아낸 상태다. 향후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과반 이상의 찬성을 얻으면 합법적인 파업에 나설 수 있게 된다.

그동안 노조위원장 선거로 노사가 냉각기를 가졌으나 5대 집행부 임기가 시작되는 12월부터 사측과의 교섭이 재개되면 파업 찬반투표 등을 무기로 사측을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지엠 노조는 이미 파업으로 상당 규모의 생산차질을 초래한 상태다. 노조는 사측과의 올해 임단협 교섭이 난항을 보이자 지난달 23일부터 쟁의행위 차원에서 잔업·특근을 거부하고 있다.

중노위의 쟁의조정 중지와 조합원 찬반 투표를 통해 쟁의권을 확보하게 되자 지난달 31일과 이달 2일 각각 전후반조 4시간씩 부분파업을 단행했으며, 이달 6일과 9일에도 같은 방식으로 파업했다.

한국지엠 따르면 잔업·특근 거부와 4차례 부분파업으로 1만2000대의 생산 손실을 입었다.

사측은 노조 파업에 따른 유동성 악화를 이유로 2100억원대 규모의 부평공장 투자 계획을 전격 보류하겠다고 밝혔으나 노조는 계속해서 파업으로 사측을 압박한다는 방침이다.

기아차 노조 역시 지난달 3일 쟁의행위 찬반투표와 중노위 조정 중지 결정으로 파업권을 확보한 채 사측에 잔업 복원과 전기차 및 수소차 모듈 부품 공장 사내 유치, 노동이사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같은 완성차 업계 노조의 강성화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 회복의 기회를 놓치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새로 바뀔 미국 정부 정책에 우리 기업들이 더 기민하게 대응해야 될 부분으로 친환경 정책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바이든 당선인은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화 할 것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와 관련된 친환경 사업 인프라 구축에 재임 4년간 2조달러(약 2230조원)를 지원하겠다고 했다.

친환경 자동차와 관련해서는 미국 내에 전기차 충전소 50만개소를 2030년 말까지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또 연방정부 차량 300만대와 스쿨버스 50만대도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으로 대체할 방침이다.

전기차 판매량을 2025년까지 연 18.3%씩 늘릴 예정으로, 이를 위해 전기차 보조금 지급도 확대한다. 미국 내에 전기차 충전소 50만개소 설치된다는 것은 주유소 못지않은 전기차 인프라가 깔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의 각 주(州)당 1만개소의 충전소만 설치돼도 우리나라의 전국 주유소 개수(1만1000여개)와 맞먹는다. 그만큼 미국 내 전기차 시장 확대가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이런 기회를 살려 미국 시장 전략 강화를 위해 빠르게 움직여야 하는 게 현재 국내 완성차 기업들의 상황이다. 하지만 생산차질 등과 연계된 쟁의행위로 적극적인 대응이 힘들어지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이 밖에도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9월 글로벌 자동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0% 증가한 795만대를 기록했다. 월별 기준으로 지난해보다 자동차 판매량이 늘어난 건 올해 들어 처음이다.

특히 그동안 부진했던 미국와 유럽, 중국, 인도 등 주요 시장이 전년 대비 증가세로 전환되며 국내 완성차 업체들도 수출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이다.

기아차는 지난 9월부터 해외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반등을 시작했다. 9월에는 7.7%, 10월에도 7.0%의 해외 시장 판매 증가율을 기록했다. 아직 해외 일부 공장의 가동률이 완전치 않은 상황임을 감안하면 국내 공장의 수출 물량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지엠은 하반기부터 미국 시장에서 본격 판매를 시작한 쉐보레의 글로벌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트레일블레이저의 원활한 공급이 시급하다.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로 미국에서 초기 신차 붐을 일으키지 못한다면 앞으로의 물량 확보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르노삼성 역시 내년부터 유럽에 공급되는 소형 SUV XM3 물량을 따낸 상태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경우 수출물량 회복이 요원해질 수 있다. 르노삼성은 현재 미국 판매용 닛산 로그 수탁생산계약이 종료되며 수출실적이 바닥까지 떨어진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요 회복 시점에 파업으로 적기 물량 대응이 이뤄지지 못한다면 파업 기간 뿐 아니라 그 이후까지 노사 모두에게 심각한 타격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