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선진화포럼(이사장 이승윤)은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 빌딩에서 ‘통일 의식의 선진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제91차 월례토론회를 개최했다. 2015년은 남북분단 70년이 되는 해로 그동안 통일에 대한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지 못한 우리의 현실을 되짚어 보기 위해 마련된 뜻깊은 자리였다. 이날 토론회는 통일에 대한 국민들의 합의를 이끌어 내고 모두가 공감 할 수 있는 통일의식의 선진화 방안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이 됐다. 아래 글은 이영옥 성균관대 명예교수의 토론문이다. |
▲ 한국선진화포럼(이사장 이승윤)이 23일 ‘통일 의식의 선진화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월례토론회를 개최하고 있다. |
둘째, 통일의 국제적 효과로 일본과 러시아 등의 비약적 발전을 말씀하셨는데, 어떻게 그리 될 수 있는지 주변국들이 설득될 만한 근거 제시가 중요하다고 본다. 한국의 통일은 한국만의 사안이 아니고 주변국들의 이해와 관심이 지대한 사안이다.
통일을 위해서 대한민국 정부는 21세기 중반을 향하여 우리나라가 주변국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상정해야함은 지당하다. 한반도 주변의 강대국들에게 통일한국의 위상은 위협으로 느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는 통일을 성취해가려면 주변 정리가 필수적이고 이들 국가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해야하는데, 통일한국이 어떤 점에서 일, 중, 러에도 유익할 것인지 그림을 제시하고 설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무엇보다도, 앞서 언급한 통일외교가 포함되는 3대 기본 통일전략에 주목하는 바다. 언급된 내용들이 기본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쉽지 않은 과제다. 우선, 국민과 지도자의 통일의지에 대한 열정을 어떻게 끌어올리며, 더욱이 북한동포의 지지를 어떻게 얻어 내는가가 문제다.
넷째, 박 교수님의 통일의식 선진화 실천방안에는 대체로 동의하며 다음의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정부는 통일을 대비한 국민 교육에 만전을 기하되, 국민들에게 통일의 대상 즉 북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전달해야 한다. 소위 ‘통일교과서’에는 북한의 현주소를 짚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1. 북한의 인구, 제도 (교육, 군, 복지, 경제, 정치), 자원, 언어, GDP, 엔터테인먼트, 통일의식 등에 관한 fact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통계적 비교가 가능한 분야는 한국과 북한의 대차대조표를 만들어 제시할 수도 있겠다.
2. 북핵 보유문제가 어떻게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사실에 입각하여 자료를 제시해야한다.
3. 분단유지 비용, 북의 도발예측 불가로 인한 정신적 불안과 피로 누적 등 분단 상태를 유지할 경우와 통일 시에는 어떤 유익이 한국인에게 있는지 등의 득실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독일의 경우를 예시하고, 남북한의 경우와 비교 제시한다.
4. 복수의 통일 시나리오는 필수다. 각 상황에 맞는 그림을 세밀하게 그려볼 필요가 있다. 북한주민의 통일에 대한 인식도 점검하여야 하며, 북한인이 우리와 같은 민족이라 할 수 있는지, 같은 언어를 사용한다고 할 수 있는지도 짚어보아야 한다. 또한 준비한 통일과 갑작스런 통일의 각 경우에 예상되는 비용도 산출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통일의식의 선진화를 위한 활동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탈북이주민 포함한 통일교육팀을 구성하여, 통일이전에는 한국민을 대상으로, 통일이후에는 북주민을 대상으로 활약하도록 한다. 이들 팀은 분야를 나누어 SNS 교육, 사이버 통일교육 등을 담당하며, 방송매체, 지상, 강연장 토론 등을 상시 개최하도록 한다.
2. 대한민국 정부가 진정으로 통일을 원한다면, 정부는 통일 상대국인 북한에 대해 인내심을 가지고, 가능한 한 적대적 표현 내지 비난은 자제해야한다.
3. 북 도발 제어효과를 위하여 복수의 다국적 기구 한반도 상존을 추진한다. /이영옥 성균관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