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동은 기자]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전셋값 상승폭이 줄면서 부동산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나왔다. 다만 시장에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고, 공급대책에 따른 물량이 실제로 시장이 공급되기 전까지는 ‘안정’을 논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3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74% 올랐다. 2월(0.89%)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해당 조사는 2월 16일부터 3월 15일까지의 변동을 반영한 결과다.
서울의 경우 0.38% 올라 2월(0.51%)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노원구(0.68%)가 역세권, 도봉구(0.55%)가 교통 및 개발호재 지역, 마포구(0.35%)가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강남권에서는 서초구(0.46%)가 대단지, 강남구(0.45%)가 정비사업 진척 기대지역 위주로 상승했다. 송파(0.45%)·강동구(0.31%)는 중저가 단지 위주로 올랐다. 전반적으로 서울은 매수세가 감소하고 관망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축소됐다는 평가다. 반면 인천은 교통호재 등으로 1.31% 올라 2월(1.16%)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 주택 매매가격은 0.53% 오르면서 상승폭이 전월(0.64%)보다 축소됐다. 5대 광역시(1.00%→0.77%)와 세종(0.87%→0.68%)도 상승폭이 줄었다. 지역별로 대전(1.18%)은 교통호재 있거나 거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대구(1.11%)는 교육 및 주거환경 양호지역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원은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서울과 경기는 중장기 시장안정 전망 활대, 공급대책 기대, 미국 국채금리 및 시중금리 인상, 보유세 부담, 30대 이하 매수 감소 등으로 매수세가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도 상승폭이 줄었다. 지난달 전셋값은 0.46% 올라 2월(0.64%)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72%→0.51%)과 서울(0.42%→0.29%), 지방(0.58%→0.41%)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역세권, 학군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했지만, 매물 누적과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상승폭이 줄었다. 강북권에서는 노원구(0.53%)가 교통여건 양호한 상계·월계동 중저가 단지, 성북구(0.37%)가 정주여건 양호한 길음·돈암동 주요 단지, 동대문구(0.30%)가 이문동 역세권과 장안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올랐다. 강남권에서는 동작구(0.38%)가 교통여건 양호한 사당동과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본동 구축 위주, 강남(0.33%)·서초(0.33%)·송파(0.32%)가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 지역과 학군 또는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0.56%)는 정주여건 또는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시흥·의왕·평택시 위주로, 인천(0.95%)은 역세권 또는 교통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신축 위주로 올랐다. 지방에서는 대전(0.88%)이 유성·서구 등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대구(0.78%)가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 지역이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 세종(0.66%)이 행복도시 인근 지역에서 매매가격과 동반해 올랐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