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조항일 기자]위기에 빠졌던 쌍용건설이 두바이투자청의 막강 자본력을 통해 재기를 노리게 됐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 관리인과 두바이투자청은 이날 오전 쌍용건설 매각에 관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전날 서울중앙지법 파산3부(수석부장판사 윤준)는 28일 쌍용건설과 우선협상대상자인 두바이투자청의 인수합병(M&A) 본계약 체결을 허용했다.
▲ 사진=뉴시스 |
쌍용건설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지난해 10월 시작된 8차 매각에 두바이투자청, SM그룹, 스틸앤리소시즈 등 3곳이 본입찰에 몰려 인수전 흥행에 성공했다. 그러나 쌍용건설은 지난 7년간 7번의 매각에 실패하는 등 끝까지 안심할 수 없었다.
그러나 법원이 이날 두바이투자청의 본계약 체결을 허용하면서 매각의 남은 절차는 두바이투자청의 회생계획 변경안 제출과 법원의 인가, 관계인 집회를 통한 매각 절차 마무리 단계만 남았다.
인수가 확정되면 쌍용건설은 두바이투자청으로부터 받은 2000억원대의 인수자금으로 채무를 변제하고 오는 3~4월께 법정관리 상황에서 벗어나 새로운 출발선에 서게 된다. 두바이투자청은 이후 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해 최대주주로 등극하게 될 전망이다.
한 때 국내 10대 건설사로 꼽혔던 쌍용건설은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때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면서 지난 1999년 3월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에 돌입했다.
결국 2002년 말 공적자금을 투입,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 채권단이 지분 50.07%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통해 쌍용건설은 워크아웃에 돌입한지 불과 5년7개월만인 지난 2004년 10월 워크아웃에서 졸업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캠코는 3년만인 2007년 11월 보유지분을 매각하기로 결정하고 투자자 모집에 나섰다.
하지만 매각은 쉽지 않았다. 캠코와 채권단은 8차례나 매각 공고를 냈으나 앞서 7차례의 시도가 모두 무위로 돌아갔다.
그동안 동국제강(1차), 독일계 엔지니어링 기업 'M+W'(2~4차), 이랜드(5차), 홍콩계 사모펀드 'VVL' 등 많은 기업이 쌍용건설에 관심을 보였지만 매각 방식, 가격 조건, 재정 건전성 등에서 관계자들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며 인수가 잇따라 무산됐다.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최고가 입찰 방식을 고집한 캠코와 회사의 지속성을 헤아려달라는 쌍용건설측이 팽팽한 긴장감을 조성하기도 했다.
이 와중에 경영 부실이 누적된 쌍용건설은 지난해초 자본잠식으로 또 다시 법정관리에 들어가야 했다.
법정관리 상황에서 쌍용건설은 코스닥시장에서 상장폐지되는 수모를 겪었지만 지난해 7월 25일 회생계획 인가 이후 2차례의 감자와 1차례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등 재무구조 개선 작업에 돌입했다.
그 결과 지난 6월말 6684억원 수준이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발 채무가 연말께 모두 해소됐다. 8500억원 수준의 채무도 채권단의 출자전환을 통해 2100억원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적 개선도 현재 진행형이다. 쌍용건설은 지난 2013년 1736억원의 영업손실을 입고, 지난해 1분기에도 25억원 영업이익 적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2분기 들어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서며 2분기 151억원, 3분기 59억원을 기록해 누적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했다.
한편 두바이투자청은 아랍에미리트(UAE)의 2대 국부펀드로 운용자산만 1600억 달러(약 175조원)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