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정부가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를 주축으로 하는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 컨소시엄을 결성하고 백신 주권 확보에 나섰다.
29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열린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 출범식'에서 주요참석자들이 협약서 서명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허경화 KIMCo 대표,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 김경진 에스티팜 사장, 허은철 GC녹십자 사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엄보영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본부장./사진=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보건복지부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9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이들 기업을 주축으로 하고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KIMCo)가 지원하는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이하 K-mRNA 컨소시엄) 출범식을 열었다.
K-mRNA 컨소시엄은 각 분야에서 강점을 지닌 제약 기업들이 협업해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대량 생산 체계 및 수출 기반을 다지겠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출범식에는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 허은철 GC녹십자 사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원희목 한국제약바이호협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내년까지 국산 mRNA 백신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이다. 비임상 단계의 후보물질을 임상단계로 진입시켜 국내 백신 개발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또 2023년까지 mRNA 플랫폼 기반 백신 대량 생산 체계를 확립해 연간 10억 도스 이상을 생산해 국내 공급 및 수출을 추진할 예정이다. 더 나아가 mRNA 백신 플랫폼 기반의 항암백신·차세대 혁신 신약 개발에도 나선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는 임상과 핵심 원료, 대량 생산 설비 구축 등에 7000억 원 이상을 투자한다. 업계에 따르면 mRNA 플랫폼은 바이러스 벡터(전달체)·재조합 백신 플랫폼보다 개발 속도전에서 유리하고 생산설비 구축에 드는 비용이 저렴하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변이 바이러스까지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백신을 너무 늦지 않게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들 기업 외에도 mRNA 기술과 원부자재 개발·생산 관련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및 대학 연계 산학연구소 등으로 K-mRNA 컨소시엄 참여 범위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56개 제약바이오기업의 공동 출자로 지난해 출범한 KIMCo는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과 소통하고 사업 전반을 조율하면서 대내외 원활한 지원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정부도 백신 개발과 생산을 가속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원희목 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자체 백신 개발은 보건 안보의 핵심이자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의 필수 조건"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백신 주권을 지키고, 세계 백신 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힘을 합친 만큼 정부에서 전폭적으로 지원해줄 것이라 믿는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