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견희 기자]국내 가구 업계 1위인 한샘이 사모펀드 운용사인 IMM 프라이빗에쿼티(PE)로 매각된 이후 그려질 청사진에 관심이 쏠린다. 온라인 채널을 다각화하는 한편 한샘리하우스·스마트홈 분야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IMM 프라이빗에쿼티(PE)는 한샘의 실사를 거쳐 하반기 중 본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본계약이 성사된 이후 IMM PE는 한샘의 온라인 플랫폼 확장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한샘이 운영중인 '한샘몰' 이외에도 판매 채널을 다각화하는 것이다.
한샘 서울 상암동 본사 사옥 전경. /사진=한샘 제공
오하임아이엔티는 IMM PE가 대주주로 있는 온라인 가구 유통 전문 기업이다. 이 회사는 2015년 설립 이후 제조 기반 없이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제작 가구를 온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하며 성장해왔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비 44% 증가한 278억원이다. 올해 역시 호실적을 낼 것으로 업계는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IMM PE는 오하임아이엔티를 오늘의집, 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판매 채널을 기반으로 성장시킨 경험을 살려 한샘의 온라인 플랫폼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샘 리하우스(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사업 부문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한샘 측이 시장 가치보다 높게 요구한 매각가가 받아들여졌다는 것 자체가 성장 가능성을 좋게 평가했다는 의미다"며 "따라서 한샘이 유지하고 있는 사업 포트폴리오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투자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오히려 시공 인력과 사후관리(A/S) 부담이 큰 리하우스 사업을 축소할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그도 그럴 게 시공 후 하자보수와 소비자 민원 법적 대응과 관련한 리스크가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한샘 브랜드를 사용하는 일반 대리점에서 시공을 받았지만, 하자 발생 건에 대해서는 본사가 책임을 지지 않는 구조로 잡음이 이어져왔다. 한샘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직시공' 조직을 구축했으며 전자계약서를 도입했다. 또 올해 4월 최고경영자(CEO) 직속 기구인 '소비자보호실'을 신설하고 소비자 품질관리에 힘을 싣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토털 인테리어, 리모델링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리하우스 사업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릴 것이란 시각이 더욱 우세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인테리어 등 유지 보수 시장 규모는 지난해 12조 7950억원에서 오는 2030년 14조 7230억 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샘 측 역시 이달 14일 매각 사실을 알리면서 "리하우스 사업 중심의 오프라인 강점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중심 성공 모델을 창출하고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스마트홈 분야에도 투자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샘은 여러 가전 업체의 스마트기기와 IT 업체의 홈 네트워크 플랫폼 개발 역량을 한샘리하우스(리모델링)에 접목시켜 '스마트홈 원스톱 패키지' 구축을 목표로 한다. 업계 관계자는 "한샘이 추진 중인 스마트홈 패키지 시장의 경우 국내에서 막강한 경쟁자가 없어 선제적으로 선점할 수 있는 매력적인 분야"라고 말했다.
스마트홈 구축을 위해 한샘은 최근 홈 IoT(사물인터넷) 전문 벤처 기업 고퀄(GOQUAL)에 30억원 투자를 단행한 바 있다. 또 지난해 9월 한샘은 삼성전자와 전략적 관계를 맺고 리모델링 사업 확대와 리테일 판매 연계, 스마트홈 솔루션 구현 등에 걸쳐 폭 넓은 협력을 이어 나가고 있다.
[미디어펜=김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