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홍샛별 기자] 최근 국내 증시가 조정을 거치면서, ‘빚투’(빚을 내서 투자)를 한 개인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커져가고 있다. 증권사가 주식을 강제로 파는 ‘반대매매’가 13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며 이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국내 증시가 조정을 거치면서 반대매매가 13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진=픽사베이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코스피) 및 코스닥 시장의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25조3656억 원에 달한다.
신용융자는 주식을 매수할 때 부족한 돈을 증권사에 담보금을 내고 빌리는 것을 의미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강타한 지난해 3월 증시 폭락 당시 8조원에 불과했던 신용융자는 이달 13일 처음으로 25조원을 넘어섰다. 지난 18일엔 25조6112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기도 했다.
주식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예탁증권 담보융자 잔고 역시 올해들어 2조9292억원 늘어나는 등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늘어나는 빚투 속에서 반대매매 위험성 역시 커지는 모습이다. 최근 주가 급락으로 주식 등의 담보 가치가 담보유지비율(대출금의 140%) 아래로 떨어지면서 증권사가 대출금을 회수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자기 자본 1000만원을 가진 투자자가 신용융자 1000만원을 받아 2000만원어치 주식을 산 경우, 주식 평가액이 대출금의 140%인 1400만원 밑으로 떨어지면 반대매매를 당한다.
지난 19일 기준 반대매매 규모는 421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지난 2008년 10월 27일(429억원)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이달 초 반대매매가 하루 200억원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시장에서는 반대매매 규모가 증가한 가장 큰 이유로 주가 하락을 꼽고 있다. 외국인들이 최근 역대급 물량을 팔아치우며 코스피, 코스닥 시장이 모두 급락했고, 이에 개인 투자자들이 빌린 돈을 값지 못하면서 반대매매가 늘었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증시가 추가 조정을 받을 경우다. 반대매매가 더욱 늘어나며 증시 불안을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지난해 증시 폭락 당시 신용거래에 대한 반대매매가 쏟아져 나오면서, 이로 인해 증시가 더 급락하는 악순환이 벌어진 바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증시 하락 폭이 커지면 반대매매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면서 “이는 결국 증시를 더 끌어내리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조기 실시 가능성 등 현재 국내 증시를 둘러싼 대내외적 상황이 녹록치 않다”면서 “여전히 증시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만큼 향후 주가 변동성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