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정부가 ‘글로벌 백신 생산 5대 강국 달성’을 목표로 올해 백신 및 원부자재 기술 개발 및 임상, 사업화 등을 위해 총 1264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20일 서울 중구 소재 포시즌스 호텔에서 ‘백신·원부자재·장비 상생협력 협의체 제1차 회의’를 개최하고, 기존 임상 중심으로 지원된 예산을, 올해는 자체 백신 기술 및 대량생산 공정 기술 확보를 위한 지원에 방점을 찍고 백신 자립화와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한 지원안을 내놨다.
의료진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특히 산업부는 2025년까지 총 400억 원을 투자해 백신용 핵심효소, 부형제, 정제 필터, 레진 등 원부자재 6개 품목 국산 기술 확보와 mRNA 백신 생산공정 시스템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11월 2일 국무총리 주재 회의 당시 체결한 ‘백신원부자재 상생협력 업무협약(MOU)’ 후속 조치로 마련된 자리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국내 백신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 의존도가 높은 원부자재와 장비에 대한 국내 기술력 확보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동 협의체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백신기업 △위아텍, 이셀 등 원부자재·장비기업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유관기관으로 구성돼 있으며, 앞으로 협의체 참여 기업 범위는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백신 기업과 원부자재·장비 기업이 제품개발 초기 단계부터 협력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대한 국내 기술을 확보하고 국산 제품의 활용을 확대하는 것이 동 협의체의 최종 목적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미약품, GC녹십자, 에스티팜 등 국내 주요 백신 기업은 각사의 백신 개발 계획을 공유하고, 국내 원부자재 기업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에 바이오협회, 제약바이오협회, 혁신의약품컨소시엄 등 지원기관은 △백신‧원부자재‧장비 기업 현황 조사 △기업간 네트워킹 △해외 인허가 지원 △국내외 홍보 및 판로 개척 등 기업들의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백신 개발 기술은 있으나 자체 생산설비가 없는 기업들을 위해 안동과 화순에 있는 백신실증센터를 활용해 백신 임상 시료 위탁 생산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원활한 백신 인력 수급을 위해 산업부·복지부 공동으로 ‘바이오 공정인력 양성센터(K-NIBRT)’를 송도에 구축하고, 2024년부터 연간 2000명 이상의 전문 인력을 양성 계획도 밝혔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주영준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그동안 민관이 합심해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백신 소부장 공급망을 강화해 튼튼한 백신산업 생태계를 만들어나가겠다”며 “백신 상생협력 협의체 출범을 계기로 2022년이 백신 주권 확보의 원년이자 백신 소부장 기술 자립화를 위한 기틀을 확립하는 한해가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강호 복지부 글로벌백신허브화추진단장은 “국내 백신 원부자재·장비 기업이 국내외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글로벌 공급망 편입 지원과 함께 백신 원료·원부자재 및 장비 수요-공급기업간 상생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백신 원부자재·장비 기술개발 단계부터 상용화 생산 지원까지 대·중소 상생협력이 백신산업 전반에 걸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복지부는 지난해 12월에 세계보건기구(WHO)의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지정을 받기 위한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바 있다.
우리나라가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선정될 경우 전 세계 바이오산업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과 바이오 기업에 대한 컨설팅 등을 총괄적으로 담당할 예정이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