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지호 기자]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취임 후 첫 조직개편을 단행하면서 대통령비서실 출신을 전무로 영입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다시 ‘낙하산 인사’가 반복되는 거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
24일 금융투자협회는 기능별 전무(회원서비스부문·대외서비스부문) 체제 도입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에 따라 금투협은 기존의 대외 정책지원 기능(정책지원본부)과 기획·홍보기능(전략홍보본부)을 총괄하는 ‘대외서비스부문 전무’와 증권파생서비스본부와 집합투자서비스본부를 총괄하는 ‘회원서비스부문 전무’를 각각 도입했다. 회원서비스 부문에는 김철배 집합투자본부장이 전무로 승진해 자리를 맡았다.
문제는 대외서비스부문 전무에 한창수(사진) 전 대통령비서실 선임 행정관이 임명됐다는 점. 한 전무는 대우경제연구소 연구원 출신으로 지난 2001~2009년까지 이상득 전 국회의원 보좌관을 거쳐 최경환 현 경제부총리의 지식경제부 장관 시절인 2009~2011년에는 정책보좌관을 지냈다. 지난해 말까지 대통령 비서실에서 선임행정관을 역임했다.
이를 두고 규제완화 등 ‘황영기호’ 금투협의 산적한 과제 해결을 위한 적절한 인사라는 평가도 있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서 반복된 또 다른 정피아(정치권 출신 인사와 마피아의 합성어)인사라는 비판도 나온다. 지근거리에 청와대 출신 인사가 있어 정부에 강하게 규제완화를 요구하기도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다.
금투협은 회장이 회원사의 투표로 선출되지만 ‘관치’ 논란에서는 자유롭지 않았다. 박종수 전 금투협회장도 취임 후 첫 인사에서 상근부회장에 남진웅 전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장, 자율규제위원장에 박원호 전 금융감독원 시장담당 부원장을 선임해 당시 노조의 강한 반발을 산 바 있다. 이에 황 회장은 취임 직후 부회장직을 폐지하고 상근직이었던 자율규제위원장직을 비상근직으로 변경했다.
첫 인사에서 대통령비서실 출신을 전무로 영입하면서 금투협이 또 다시 관치에 휘둘리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전무는 금투협에서 회장 다음으로 높은 직책이다. 상근부회장직이 형식상으로만 없어진 것으로도 볼 수도 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황 회장이 낙하산 논란을 감수하면서도 금융당국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한 전무를 영입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규제완화 등 산적한 과제 해결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인사라는 것. 실제로 금융투자업계 규제개혁 등에 강한 주장을 해 금융위원회와 잦은 갈등을 빚던 전임 박 회장은 석연치 않은 이유로 돌연 연임 포기의사를 밝힌 바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황 회장이 업계의 발전을 위해 한 전무를 영입한 것으로 생각하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