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대미 수출액, 완성차와 부품 포함 10년 새 75%↑

2022-03-17 10:45 | 김태우 차장 | ghost0149@mediapen.com
[미디어펜=김태우 기자]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우려석인 목소리가 높았지만 이에 대한 최대 표가 품목은 역시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완성차 업계들의 친환경차와 고급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으로의 제품믹스 변경으로 차량 가격이 상승했다. 자연스레 부품가격 역시 증가하며 이 같은 결과를 만들어 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14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한미 FTA 발효 이후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은 연평균 5.86% 증가했다.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주요 국가를 상대로 한 연평균 수출 증가율이 2.03%인 점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로 우려석인 목소리가 높았지만 이에 대한 최대 표가 품목은 역시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인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미디어펜



이를 바탕으로 자동차와 차 부품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전체 대미(對美) 수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25.0%)을 차지했다. FTA 체결 이전 대비 수출액 규모도 75.5% 늘어났다.

전체 완성차 수출은 10년 사이 등락을 반복했다. 2015년 대미(對美) 완성차 수출이 정점(106만6164대)을 기록한 이후 여전히 그 수치에 못 미치고 있지만, 수출액을 따져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먼저 수출 규모를 살펴보면 한미 FTA 발표 첫해인 2012년 국내 생산 완성차의 미국 수출은 69만3736대였다. 이듬해(2013년)에는 국산차의 미국 수출은 약 75만6000대에 달했다.

이후 2014년 수출 규모는 90만 대에 육박했다. 마침내 FTA 발표 3년 만인 2015년 '대미 자동차 수출'은 106만 대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일본 자동차 업계가 부침을 겪게 되면서 현대차와 기아가 반사이익을 누린 때였다.

그러나 2015년을 정점으로 미국을 상대로 한 수출 규모는 점진적으로 줄었다. 2008년 리먼 쇼크 이후 급성장한 자동차 시장이 정점을 기록했고, 차 시장이 본격적인 저성장 기조에 접어든 탓이다.

결국 2018년까지 대미 자동차 수출은 3년 연속 감소했다. 본격적인 반등세가 시작한 2019년(88만4244대)을 기점으로 상승 전환을 기대헸으나 코로나19 팬데믹(2020년 3월)이 이어지면서 미국 수출을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다만 전체 수출물량이 감소했지만, 수출차 1대당 판매 가격은 한미 FTA 발효 당시와 비교해 크게 달라졌다.

현대차 공시를 기준으로 2012년 해외 승용차 평균 판매가격은 2994만원, SUV는 4127만원이었다. 이와 달리 지난해 기준 승용차는 3579만원, SUV는 4826만원으로 올랐다. 각각 2012년과 비교해 각각 19.5%와 16.9% 상승한 수치다.

승용차 판매 가격이 20% 가까이 증가한 배경에는 2015년 고급차 브랜드 제네시스가 출범한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수출)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비슷한 시기에 현대차와 기아가 현지전략형 모델을 포함해 SUV모델로 제품라인업을 변경하며 차량가격이 올라간 것도 크게 작용했다. 

현재 미국시장에서 현대차는 팰리세이드가 인기를 끌고 있고 기아는 텔루라이드가 인기를 끌며 미국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수출 물량이 등락을 반복하는 완성차와 달리 자동차 부품은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지 서비스 수요는 누적 판매와 비례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미 FTA 발효 직전, 미국 현지에서 선전 중인 한국차와 달리 국내에서 미국산 수입차의 존재감이 미비해 통상 압력을 받기도 했다"며 "FTA 발효 이후 벤츠와 BMW 등 주요 수입차 브랜드가 독일이 아닌, 미국산 SUV를 국내에 수입하는 등 수입선 다변화도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관련기사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