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원전 최강국 건설'을 공약한 윤석열 대통령의 기저를 이어받아 정부가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관계부처를 비롯한 민간기업들이 산업생태계 강화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뜻을 모으고 있다.
22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부터 다음달 12일까지 '원전수출전략추진단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정안에 대한 행정예고를 실시한다.
이는 미국·프랑스 등 경쟁국과 차별화된 수출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추진단에는 방산·건설·인프라·IT·금융조달을 비롯한 사업을 논의할 수 있는 인사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단장은 이창양 산업부 장관이 맡는다.
신한울 원전 1호기와 2호기(오른쪽)/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업계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의 사례를 들어 '패키지딜'이 판로 확대에 도움될 것으로 보고 있다. K-원전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파이낸싱 능력은 부족한 편이라는 것이다.
2043년까지 원전 6기를 도입하려는 폴란드의 경우 방산 수출과 '세트메뉴'를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폴란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여파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FA-50 경공격기 △한화디펜스의 K-9 자주포 및 K-10 탄약운반장갑차 △현대로템의 K-2PL 전차 도입을 검토하는 중으로, 최근 국방부 장관이 한국을 찾아 군·방산업체 관계자들을 만난 것으로 전해졌다.
차세대 전차·보병전투장갑차(IFV) 도입 등 안보역량 확대를 모색 중인 체코에서도 비슷한 형식의 비즈니스를 타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체코는 두코바니 지역에 1200메가와트(MW)급 가압경수로 원전 1기를 건설한 뒤 최대 3기의 발전소를 조성하기 위한 본입찰에 돌입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를 거치며 어려움을 겪었던 원전산업 밸류체인을 회복하기 위한 지원방안들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원자력노동조합연대는 최근 기자회견을 갖고 "지금도 우수 인재들이 떠나고, 기자재 공급업체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도산하고 있다"면서 "윤석열 정부가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한울 3·4호기 조기 발주로 생태계를 복원해야 할 것"이라고 호소했다.
신한울 원전 3·4호기 부지/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실제로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2016년 2만2000여명이었던 원전산업 종사자는 2020년 1만9000명으로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도 5조5000억원 규모에서 4조원 수준까지 하락했다. 수출은 1억2641만달러에서 3372만달러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원전 예비품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위한 설계 등 925억원 규모의 일감을 올해 안으로 긴급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2025년까지 1조원 이상의 일감을 추가 공급하고, 신한울 3·4호기 발주도 앞당기기로 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금융기관 등을 활용, 유동성 지원을 비롯한 지원사격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두산에너빌리티도 이날 경남 창원을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창양 장관·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게 △협력사 기술인력 양성 △품질전문가 파견 △대출 확대 △장기공급협약 체결 확대 등을 포함한 상생방안을 발표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시 협력사에 제작 물량을 조기 발주하고, 선금 지급으로 사업정상화도 돕는다는 방침이다. 동반성장펀드를 240억원에서 840억원으로 늘리고, 소형모듈원전(SMR) 제작 물량 확보로 기자재 공급망도 구축한다는 목표다. 청정수소 생산을 위해 원전 연계 수소설비사업에 공동 진출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바라카 3호기가 운영허가를 취득하고 연료장전에 착수한 반면, 미국과 프랑스가 수주한 발전소들은 건설과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등 어필할 수 있는 요소가 많다"면서 "탄소중립·전력수급 등의 이슈로 글로벌 원전시장이 확대되는 것을 활용하면 경제활성화 뿐만 아니라 미래먹거리 발굴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