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가파른 인건비 상승…생상성 향상 방안 필요

2022-07-20 11:30 | 조한진 기자 | hjc@mediapen.com
[미디어펜=조한진 기자]지난 10년간 상장사 직원 1인당 인건비 증가율은 43.3%로, 매출액 증가율(12.5%)의 3.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계에서는 생산성 향상에 비해 임금 상승이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011~2021년 상장사 인건비 및 실적 추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장사 직원 1인당 평균 연간 총급여는 2011년 5593만 원에서 2021년으로 8016만 원으로 10년간 43.3%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같은 기간 직원 1인당 매출액 증가율 12.5%(2011년 9억6000만 원→ 2021년 10억8000만 원)의 3.5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근로자들이 출근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10년 동안 상장사 직원 1인당 전년 대비 연간총급여 증가율은 2012년, 2017년, 2021년을 제외하고 전부 1인당 매출액 증가율을 상회했다. 특히, 2013~2016년과 2019~2020년에는 1인당 매출액이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1인당 연간총급여는 전년 대비 증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반도체 호황기였던 2017년과 코로나19 기저효과 및 IT‧게임‧통신업 등 비대면 업종의 호실적이 두드러진 2021년을 제외하고는 인건비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을 꾸준히 앞질러왔다”며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임금의 하방경직성이 높은 탓에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하는 불황기에도 노사협상 등에 의해 임금은 오히려 오르는 경우가 많아 기업들의 경영부담이 이중으로 가중된다”라고 설명했다.

지난 10년간(2011~2021년) 매출액 대비 인건비(연간총급여) 비율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업종은 △여행사 및 여행보조 서비스업(10.1%p)이었다. 이어 △영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9.6%p), △고무제품 제조업(7.0%p),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서비스업(6.7%p), △인쇄물 출판업(6.5%p), △전기 및 통신 공사업(6.1%p),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5.8%p),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4.0%p), △선박 건조업(3.8%p), △화학섬유 제조업(3.7%p) 순이었다.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율 증가 상위 10개 업종 중 9개는 지난해 직원 1인당 매출액이 10년 전인 2011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영화, 방송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67.7%),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64.4%), △여행사 및 여행보조서비스업(-36.7%) 등의 순이었다. 이 중 절반(5개 업종)은 오히려 직원 1인당 인건비가 올랐고, 나머지 4개 업종은 매출액 감소에 비해 인건비 감소율이 낮은 수준이었다. 한편,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은 매출액이 증가(1.6%)한 것에 비해 인건비가 더 크게 증가(22.7%)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노동비용 상승속도는 노동생산성에 비해 가파르며, 이러한 인건비 부담 증가는 국제무대에서도 높은 수준이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09~2019년)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1인당 노동비용은 37.6% 증가한 반면, 1인당 노동생산성은 29.1% 늘어나 노동비용 증가율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G5의 노동비용 증가율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각각 23.6%, 22.3%였다. 한국의 제조업근로자 노동비용 증가율(37.6%)은 G5(23.6%)보다 1.6배 높은 수준이었고, 노동비용과 노동생산성 증가율간의 격차는 8.5%p로, G5(1.3%p)보다 컸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물가 상승 및 금리 급등 등 대내외적 경영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생존하고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급격한 임금인상을 자제하고 노사가 함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강구해 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