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홈 경제 정치 연예 스포츠

"은행 IRP, 반드시 원금보장형 상품 아냐"…가입시 주의점은?

2022-08-23 16:36 | 류준현 기자 | jhryu@mediapen.com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 2년차 직장인 박모씨. 지난해 12월 연말정산을 앞두고 은행에서 개인형 퇴직연금(IRP) 계좌를 개설하고 70만원을 납부했다. 그런데 올해 4월 계좌 확인 과정에서 약 15만원의 원금손실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다. 박씨는 "은행 직원이 '세액 공제용, 정기 예·적금 같은 상품'이라고 설명했으나 원금손실이 발생했다"며 '불완전 판매'에 해당한다는 민원을 금융감독원에 제기했다. 확인 결과, 박씨는 IRP를 가입하면서 '펀드' 상품으로 운용 지시를 한 상태였다. 이에 금감원은 민원을 기각했다.

금감원은 23일 올해 상반기 신속 민원 처리 결과를 분석해 'IRP 계좌개설 및 운용 시 유의사항'을 소비자들에게 안내했다. 

금감원은 23일 올해 상반기 신속 민원 처리 결과를 분석해 'IRP 계좌개설 및 운용 시 유의사항'을 소비자들에게 안내했다./사진=미디어펜 김상문 기자



위 사례처럼 박씨가 은행 예·적금과 같은 원금보장을 희망했다면, IRP 계좌를 개설한 뒤 은행이 예금으로 운용하도록 지시했어야 한다. IRP에서 편입할 수 있는 상품은 예금, 펀드, 상장지수펀드(ETF), 리츠 등 다양하다. 금융권역·회사별로 차이가 있는 만큼,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운용을 지시해야 한다. 금감원은 "은행에서 가입한 IRP가 반드시 원금보장형 상품은 아니"라며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더불어 금감원은 IRP 가입과 해지는 신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IRP를 중도 해지할 경우 자산매도 금액에서 이미 받은 세액공제 혜택이 차감돼 해지로 인한 손실이 클 수 있다. 또 중도해지 시 세액공제 받았던 납입금과 운용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 16.5%가 부과된다. 부득이한 중도 인출 사유(6개월 이상 요양을 요하는 의료비, 개인회생 및 파산, 천재지변 등)를 소명하면 기타 소득세율 3.3∼5.5%가 적용된다.

투자자가 확정기여형 퇴직급여(DC)를 수령하기 위해 IRP 계좌를 개설했다면, 반드시 퇴직급여 수령방식을 '현물 이전' 방식으로 신청해야 한다.

퇴직급여는 현물 이전과 현금 이전 방식 중 선택할 수 있다. 현물 이전 방식은 퇴직급여에서 운용하던 금융상품을 IRP 계좌로 그대로 이전하는 것을 뜻한다. 현금 이전은 퇴직급여에서 운용하던 금융상품을 모두 현금으로 청산한 뒤 이전하는 방식이다. 퇴직급여 신청서의 신청란에 이전 방식을 선택적으로 기재할 수 있는 만큼, 현물 이전을 원한다면 명확히 의사 표시를 해야 한다.

한편 금감원 신속민원처리센터는 상반기 민원 처리 결과 분석 자료를 토대로 향후 권역별 금융소비자 유의사항을 순차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종합 인기기사
© 미디어펜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