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 "저는 이 나라를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를 기반으로 국민이 진정한 주인인 나라로 재건하고, 국제사회에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는 나라로 만들어야 하는 시대적 소명을 갖고 오늘 이 자리에 섰다."
지난 5월 10일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윤석열 대통령의 첫 일성이다.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났다. 본보는 윤 대통령의 취임 6개월을 맞아 ①전반적인 국정운영 ②여건·성과·과제 등 정부 성적표 ③국정운영 긍정평가 등 지지율 분석 순으로 연재 기사를 게재한다.
윤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으로 취임한지 6개월을 넘겼다.
윤 대통령은 구중궁궐 청와대를 떠나 '용산 시대'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켰고, 일에 몰두하는 대통령상을 확립했으며, 소득주도성장·탈원전 등 문재인 정부 실정에 해당하는 정책을 속속 폐기했지만 지지율 추이는 큰 숙제로 남았다.
바로 여권 내분 장기화·사적채용·비속어 순방 논란 등이 이어지면서 집권초 '허니문 효과'를 누리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윤 대통령은 민생 행보 강화 및 대통령실 인적 개편을 단행했지만 국정운영 긍정평가로 표출되는 대국민 지지율은 30% 안팎에 머물러 있다.
단적인 예로 여론조사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8~10일 전국 성인 1006명을 조사한 결과, 윤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답변은 지난주보다 1%포인트 오른 30%로 집계됐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은 같은 기간 1%포인트 내려간 62%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월 11일 오후(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 소피텔호텔에서 열린 동포 만찬 간담회에서 정명규 재캄보디아한인회장의 환영사에 박수 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이는 취임 6개월 당시 각 지지율로 비교하면 이명박 전 대통령에 이어 2번째로 낮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동률인 수치다.
다만 이는 정권 재창출 측면에서 굳이 부정적인 신호는 아닌 것으로 읽힌다. 윤석열 정부의 명운을 좌우할 총선까지는 1년 4개월 남았기 때문이다. '시간'은 아직 윤 대통령 편인 셈이다.
특히 윤 대통령 입장에서는 취임 6개월 시점의 이러한 지지율 추이가 그렇게 부정적이진 않다. 여러 악재가 잇달아 일어났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거두지 않은 핵심 지지층(콘크리트 지지층)의 존재와 20%후반대라는 콘크리트 지지선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임기 6개월째 낮은 지지율을 보인 노 전 대통령-이 전 대통령-윤 대통령에게는 정권 전부터 고조된 '경제 위기'가 지지율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 악화가 민심으로 표출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앞으로의 관건은 정부 국정운영의 성과다.
최근 윤 대통령은 취임 6개월 만에 교육부 장관 퍼즐을 짜맞춤으로써 1기 내각을 완성했지만, 그와 동시에 '10.29 참사'가 터지면서 위기 극복에 전념하고 있다.
이뿐 아니다. 공급망 재편 및 고환율·금리·물가 등 '3고시대'의 대두로 인한 복합위기도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물가 상승·실직)의 그림자를 짙게 드리우고 있다.
경제 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한 현안이자, 윤 대통령 지지율 추이의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매일경제 및 MBN이 여론조사기관 메트릭스에 의뢰해 지난 3~4일 이틀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현 경제상황에 대한 체감도를 조사해 봤더니, '현재 상황이 나쁘다'고 답변한 응답자 비율이 80.1%로 나왔을 정도다.
20%후반에서 30%초반 박스권에 갇혀 있다는 윤 대통령 지지율은 올해 연말부터 내년 초까지 민생 위기가 해소되는 시점부터 본격적인 상승세를 탈 것으로 관측된다.
윤 대통령이 문재인 전 대통령과 다른 점은 시장을 통제하려고 하지 않고 최대한 민간에게 자유를 허하면서 규제 완화, 감세 등 적극적인 시장 촉진책을 내놓고 있다는 점이다.
글로벌 경기 악화에 따른 대외적 여건이 다시 반등하는대로, 윤 대통령의 이러한 경제 정책 기조가 빛을 발하면서 지지율 또한 상승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